21대 국회 임기 시작...도내 의원 59명, 경기도 발전 위해 협치 필수

제21대 국회의원 임기가 30일 시작되면서 여야 경기 의원들의 활약상에 관심이 쏠린다. 특히 여야 경기 의원들이 핵심 요직에 두루 포진한 만큼 21대 국회 협치의 밀알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또 경기 의원들이 여야를 떠나 도내 주요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21대 국회 경기지역 의석 수는 총 59석으로 민주당이 51석, 통합당과 정의당은 각각 7석, 1석을 차지했다. 지난 20대 국회보다 1석 감소했만 전체 국회의원의 19.7%를 차지, 여전히 가장 많은 의석 수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여야 경기 의원들이 각 당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게 돼 21대 국회를 주도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우선 경기 의원들이 21대 국회 전·후반기 의장단에 입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당 박병석 의원에게 전반기 국회의장직을 양보한 김진표 의원(5선, 수원무)은 후반기 국회의장 ‘0순위’ 후보군으로 꼽힌다. 같은 당 김상희 의원(4선, 부천병)은 전반기 국회부의장 후보로 선출되면서 최초의 여성 부의장에 오르게 됐다.

친문(친문재인) 당권파인 김태년 의원(4선, 성남 수정)은 21대 국회 첫 민주당 원내 사령탑에 선출되며 177석 거대 여당을 지휘하고 있다. 또 양당의 실무 협의를 담당하는 원내수석부대표에는 민주당 김영진 원내 총괄수석부대표(재선, 수원병), 통합당 김성원 원내수석부대표(재선, 동두천·연천)가 각각 배치됐다. 통합당에선 유의동 의원(3선, 평택을)이 사무총장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고, 송석준 경기도당위원장(재선, 이천)은 정책위 부의장으로 임명됐다.

‘의정활동의 꽃’인 상임위원장직을 맡을 자격을 갖춘 중진 의원으로는 민주당 윤호중(4선, 구리)·김경협(3선, 부천갑)·김민기(3선, 용인을)·박광온(3선, 수원정)·윤후덕(3선, 파주갑)·이학영(3선, 군포)·이원욱(3선, 화성을)·전해철 의원(3선, 안산 상록갑), 통합당 유의동 의원 등 10여 명에 달한다.

이처럼 여야 경기 의원들이 당과 국회의 핵심 세력으로 떠오르면서 ‘일하는 국회’가 경기 의원들의 어깨에 달렸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또 산적한 도내 현안 역시 해결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과도한 수도권 규제를 합리화하고, 도내 31개 시·군 간 불균형을 해결하려면 여야 경기 의원들이 정쟁보다는 소통을 위해 힘을 써야 한다.

물론 20대 국회에서 경기 의원들이 한목소리를 낸 사례가 일부 있다. 평화경제특구법이 외통위 법안심사소위에 올랐을 때 여당 간사였던 박정 의원(재선, 파주을), 타 상임위 소속이던 민주당 윤후덕·통합당 김성원 의원 등이 회의장을 찾아 자당 의원을 상대로 법 제정 필요성을 역설했다. 당시 여야가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평화경제특구법이 제정되지는 못했지만, 지역 정가에서는 경기 의원들이 보여준 초당적 협력에 박수를 보냈다.

그러나 대부분은 경기 의원들이 말로는 경기도 발전을 외쳤지만, 결정적인 순간에 힘없는 모습을 보이며 ‘모래알 경기도’, ‘정치 변방 경기도’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에 21대 국회에선 도민의 삶과 직결된 문제를 풀기 위해 경기 의원들이 협치 정신을 실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도 관계자는 “과도한 수도권 규제 완화와 교통·주거 인프라 문제, 미세먼지 저감 등 환경 이슈, 실질적 일자리 확대 등 현안이 산적해 있는 상태”라며 “여야 경기 의원들이 도내 59개 지역구를 대표하는 만큼 당론에 파묻히기 보다는 도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협력하는 국회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