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생활폐기물 감소와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마련한 ‘생활폐기물 저감 및 재활용 활성화 정책’을 시ㆍ군과 연계해 추진한다.
경기도는 4개 분야 15개 정책으로 구성된 ‘경기도 생활폐기물 저감 및 재활용 활성화 추진 모델’을 마련하고 6월 중 시·군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31일 밝혔다.
이 모델은 폐기물 발생에서 처리까지 단계별로 도에서 추진 중인 사업과 향후 계획 등을 15개 정책으로 분류했다. 구체적으로는 ▲생활 속 폐기물 발생량 줄이기(1회용품 저감) ▲재활용 활성화 ▲교육홍보 강화 ▲재활용 인프라 확충 등으로 진행된다.
먼저, 생활 속 폐기물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1회용품 사용 실태조사와 점검을 강화한다. 또 1회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생활습관 정착을 위한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주요 정책은 ▲도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반기별 1회용품 사용실태 조사ㆍ공개 ▲배달음식에 불필요한 1회용품 안 쓰기 캠페인 상시 추진 등이다.
두 번째로 재활용 활성화를 위해 행복마을 관리소 등과 연계, 재활용품 거점 배출시설 운영을 강화한다. 세 번째로는 일반 도민 대상 1회용품 사용 줄이기, 올바른 분리배출 교육 등 교육 홍보 강화에도 나선다. 마지막으로 재활용 인프라 확대를 위해서는 재활용품 집하·선별장 등 공공 재활용 기반시설 확충ㆍ현대화 등을 추진한다.
엄진섭 경기도 환경국장은 “시ㆍ군과 연계한 이번 ‘생활폐기물 저감 및 재활용 활성화 정책’을 통해 폐기물 다량 발생 상황에 미리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추후 다양한 정책을 개발하고 우수 시·군 대상 인센티브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의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에 따르면 인구 증가와 1회용품 사용량 증가로 도내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2017년 1만1천605.3t에서 2018년 1만2천406.1t으로 약 6.9% 증가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