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 후반기 의장·상임위원장, 정당·국회의원 개입 차단

시의회 자체 선거로 선출 움직임 나와

인천시의회가 후반기 의장·상임위원장 선출에 대한 정치권의 개입 차단에 나선다. 정당(인천시당)과 국회의원(지역위원장)이 의장단 선출에 개입한 그동안의 정치적 관행을 뿌리뽑겠다는 시의회의 의지가 실현으로 이어질지에 지역 정가의 관심이 몰리고 있다.

31일 시의회에 따르면 오는 7월 1~3일 제8대 시의회 후반기 원구성을 위한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장 선거 등을 할 방침이다. 7월 1일 의장과 제1·2부의장 선거를 하고, 2일에는 각 상임·운영·특별위원장 선거 등을 한다.

공식 선거 이전에 의장단, 상임위원장 등은 모두 내정하는 것이 그동안의 관행이다. 현재 하반기 의장엔 신은호 의원(더불어민주당·부평1)으로 합의가 이뤄진 상태다. 부의장에는 김준식 의원(민·연수4)과 민경서 의원(민·미추홀3) 등이 거론 중이다.

특히 관행적으로 상임위원장 선거에는 각 정당의 인천시당위원장이나 현역 국회의원(지역위원장)이 개입해왔다. 지난 제8대 의회 전반기 원구성도 시당 차원에서 다선 등 선수 위주로 의장단과 상임위원장을 구성한다는 원칙에 따라 했다. 당시 윤관석 시당위원장은 “원구성은 시의원 경험과 연배라는 확고한 기준을 가지고 이뤄질 것이고 협의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지역위원장 등 여러 위원장과 상의해 결정하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번 의장단 선출에선 이 같은 외부압력을 차단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남궁형 의원(민·동)이 총대를 메고 나선 상태다. 그는 “시당과 지역위원장의 입김을 막기 위해 34명의 민주당 의원이 자치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하고, 민주적 방식을 통해 의장단과 상임위원장을 선출하자”고 현 의장단에 제안했다.

남궁 의원의 안은 6월 중 시의원으로 구성한 자치선거관리위원회(의장단,상임위원장 출마 시의원은 제외) 선거 관리하에, 34명의 민주당 시의원이 투표하는 방식이다.

시의회는 6월 1일 제263회 정례회 1차 본회의를 마친 후 의장단, 상임위원장, 특별위원장(예결위, 윤리위, 자치분권특위) 회의를 열고 이 같은 제안에 대해 논의할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기본적인 의장단·상임위원장 선출 방식도 결정할 전망이다. 기초적인 안이 나오면 민주당은 6월 의원총회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받아들일지 여부를 논의한다.

시의회 내부에서는 긍정적인 분위기다.

조성혜 의원(민·비례)은 “전반기 원구성 과정에서 선수 중심으로 짠다고 했지만 지역 안배도 고려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우리 내부의 원칙을 만들고 선관위 자체 구성해서 선거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병래 기획행정위원장(민·남동5)는 “전반기 의장단이나 상임위원회도 현재 이야기가 이뤄지는 원칙에 대해 큰 틀에서 동의하고 있다”며 “세부적인 부분은 달라질 수 있지만 큰 틀에서는 시의원의 민주적 토론을 통해 원구성을 하는 방향으로 흘러갈 것 같다”고 했다.

남궁 의원은 “만약 이같은 방식대로 의장단과 상임위원장을 선출한다면 이는 광역의회에서 처음 있는 일”이라며 “자치 분권 측면에서 시의원이 스스로 원구성을 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시당이나 각 지역위원장이 의장이나 상임위원장을 이른바 꽂는 낙하산식 원구성이 아니라 밑에서부터, 시의회 자체적인 원구성이라 민의를 더욱 잘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고 했다. 이어 “다만 형식만 갖추는 것에만 그쳐서는 안되며, 앞으로 지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명문화해야 한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