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지역아동센터로 분산, 급식 공백 위기

코로나19 여파로 인천지역 초·중·고교 저소득층 결식 학생이 급식 공백 위기에 처했다.

방학 동안에 기초자치단체에서 예산을 받아 중식을 제공해 온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지원이 등교 개학 시점인 6월부터 중단되면서, 집에서 원격수업을 받는 결식 학생들에 대한 대책 마련이 이뤄지지 않은 탓이다.

1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번 등교개학으로 결식 위기에 빠진 인천지역 저소득층 학생은 1만4천여명에 달한다.

결식학생은 통상 학기동안 점심식사는 학교에서, 저녁식사는 지역아동센터에서 각각 제공받았지만, 교차 등교로 학교에 안가는 원격수업일에는 점심식사할 곳이 사라진 것이다.

이날 인천 곳곳의 지역아동센터에는 당장 점심식사를 어떻게 해야할지 묻는 문의전화가 쏟아졌다.

이에 지역아동센터마다 가정에서 식사를 하거나 도시락을 준비해달라고 답했고, 저녁식비로 마련한 예산을 쪼개 점심식비로 활용한 곳도 있다.

부평구 지역아동센터 관계자는 “점심식비 지원에 대한 민원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구체적인 지침이 없다보니 혼란스럽다”며 “결론이 나오기 전까지 임시방편으로 가정급식을 요청하고 있지만, 언제까지 이렇게 해야할지 걱정이 크다”고 했다.

한 구 관계자는 “등교 개학을 시작하기 전부터 인천시에 정확한 지침을 여러 차례 구두로 요청했고 지난 29일에는 군·구가 다함께 공문으로 뜻을 전달했다”고 했다.

이어 “등교 개학이 이뤄지기 전에 이미 결정하고 준비했어야 하는 문제인데 아직까지 시의 입장조차 알 수 없어 답답한 상황”이라고 했다.

이날 시는 시교육청과 결식 학생 점심식사 지원 방식과 범위를 두고 협의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시측은 시교육청이 저소득층에게 교육비로 지급하던 지역상품권 제도의 범위를 넓혀 맞벌이 부부의 자녀 등도 결식학생으로 간주, 상품권을 제공하자는 입장이다. 시교육청의 상품권 지급을 통해 지자체의 부담과 급식공백을 줄이자는 논리다.

반면, 시교육청은 저소득층 학생에 한해 급식카드, 지역아동센터 지원 등 다른 방식으로 중식을 제공해야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아이들에게 상품권을 따로 전달하는 과정이 쉽지 않은데다, 개별 학교에서 자체 예산으로 상품권을 먼저 전달하고 나중에 예산을 청구하는 방식이 현장의 부담을 높인다는 이유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일단 큰 틀에서 결식 학생이 없어야 한다는 점에는 동의했지만, 구체적인 방식과 지원 범위에 이견이 있는 상황”이라며 “최대한 빠르게 협의를 마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조윤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