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안민석·윤관석 등 대거 지원… 49명 중 20명 이상 달해
민주당 17~18명 할당 예상… 배정 ‘키’는 김태년·김영진에게로
21대 국회 전반기 원 구성 협상이 시작된 가운데 전통적 인기 상임위원회인 국토교통위원회에 여당 경기·인천 의원들이 대거 지원, 몇 명이나 입성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더불어민주당이 거대 여당으로 거듭난 데다 경기·인천에는 풀어야 할 교통 및 부동산 현안이 쌓여 있어 경인 의원 몫 국토위원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일 본보 취재 결과, 대표적인 ‘노른자 상임위’인 국토위에 지원한 민주당 의원 49명 중 20명 이상이 경인 의원으로 확인됐다. 경기에서는 김진표(수원무)·안민석(오산)·김민철(의정부을)·민병덕(안양 동안갑)·양기대 의원(광명을) 등이, 인천에서는 윤관석(남동을)·김교흥(서갑)·유동수(계양갑)·정일영(연수을)·허종식 의원(동·미추홀갑) 등이 각각 국토위를 1순위로 희망했다.
이처럼 국토위를 희망하는 의원들이 많은 이유는 경인지역에 부동산과 교통, 사회간접자본(SOC), 일자리 문제와 관련, 해결해야 할 현안이 많기 때문이다. 국토위 입성 시 지역구에 SOC 유치 등에 필요한 예산을 따내는 데 유리하다.
특히 민주당이 177석 슈퍼 여당이 되면서 국토위 정원 30명 중 여당 의원은 17~18명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20대 국회 전반기 12명, 후반기 13명보다 4~5명가량 많은 수치다.
20대 국회 전·후반기의 경우 각각 5명의 경인 의원이 국토위에서 활동했다. 지난 20대 국회 전반기에는 위원장을 지낸 조정식 의원(시흥을)을 비롯, 윤관석·윤후덕(파주갑)·이원욱(화성을)·임종성 의원(광주을) 등이, 후반기 땐 간사를 맡았던 윤관석 의원과 윤호중(구리)·김철민(안산 상록을)·김영진(수원병)·임종성 의원 등이 국토위원으로 활약했다.
이처럼 민주당 소속 국토위원 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경인 의원 몫도 늘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광주, 화성 등 급격하게 인구가 늘어난 지역을 중심으로 난개발 및 교통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접경지역의 경우 도로 등 교통 인프라 확충 문제가 시급한 실정이다.
한 경기 의원은 본보 기자와 만나 “경기도와 인천시에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수도권 3기 신도시, 서울지하철 2호선 청라연장,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사업 등 조속히 풀어야 할 국토·교통 현안이 그 어느 지역보다도 많다”며 “민주당 의석 수 중 경인 의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큰 만큼 가능한 많은 수를 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인기 상임위인 국토위의 경우 권역별로 의원 수가 할당될 가능성이 크다. 일각에서는 김태년 원내대표(성남 수정)와 김영진 원내 총괄수석부대표 등 경기 의원들이 키(key)를 쥐고 있는 만큼 지역적 상황을 고려한 상임위 배정이 이뤄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다만 김 원내대표와 김 원내 총괄수석부대표 모두 경기 의원이라는 점이 오히려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김 원내대표와 김 원내 총괄수석부대표가 상임위 배정 과정에서 형평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경인 의원들을 특별히 챙기기는 쉽지 않다”며 “경인 의원 몫이 크게 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