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5조원 규모의 3차 추가경정예산안을 통해 ‘한국판 뉴딜’을 예고한 가운데 경기도가 바이오스타트업 캠퍼스, 반월ㆍ시화산단 그린 뉴딜 등 62개 현안을 연계 추진한다. 정부가 코로나19 경제 부양책으로 ‘재정 확장 기조’를 펼치는 만큼 경기도가 이번 추경을 지역 발전 도약점으로 삼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경기일보가 2일 ‘2020년 제3차 국가 추경 경기도 제안사업 62개’를 분석한 결과, 경기도는 정부 추경 방침에 맞춰 50개에 달하는 디지털ㆍ그린(친환경) 뉴딜 사업을 건의했다. 이는 정부 정책 방향에 맞춰 주요 현안을 해결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총 62개 사업 중 디지털 뉴딜 분야에는 32개, 그린 뉴딜 분야 18개, 일반 일자리 8개, 도정 현안 2개, 전국 확대 건의안 2개(제2차 재난지원금, 지역화폐 발행ㆍ운영) 등이다. 전국 확대 건의안을 제외한 60개 사업의 예산 규모는 3천966억원이다.
도는 우선 광교 바이오스타트업 캠퍼스 건립을 건의했다. 이는 광교테크노밸리(수원시 영통구) 내 8천242㎡ 규모로 기업지원동과 연구실험동을 구축하는 것이다. 도는 이번 국가 추경에서 타당성 용역비(81억6천만원)를 확보, 바이오스타트업 캠퍼스를 양질의 일자리 창출소 및 투자 유인소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어 국내 최대의 국가산단인 반월ㆍ시화산단의 ‘그린 뉴딜’을 꾀한다. 도는 노후화된 산단을 저탄소 친환경 체계로 전환, ‘그린 뉴딜 성공 모델’로 조성한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에너지 디지털맵(에너지 데이터 확보), 에너지 통합시스템(에너지 효율화 지원), 신재생에너지 인프라(태양광, 에너지저장장치를 비롯한 설비 확대) 등의 명목으로 국비 162억원을 요청했다.
지역 생태 관광 활성화를 위해 경기만 에코뮤지업 사업도 경기전역으로 확대한다. 현재 도는 안산ㆍ화성ㆍ시흥 내 12개소(선감역사박물관, 매향리스튜디오, 연꽃테마파크 등)를 활용, ‘지붕 없는 박물관’을 구축하고 있다. 도는 이 사업을 내년부터 DMZ, 남한강, 북한강으로 거점을 넓히기 위해 관련 프로그램 운영비 20억원을 건의됐다.
별도 일자리 사업으로 행복마을관리소의 전국 확대도 포함됐다. 이는 이재명 도지사가 내세운 민선 7기 핵심 일자리 정책이다. 원도심을 비롯한 주거취약지에 ‘홍반장 역할(지역 순찰, 아동 등ㆍ하교 등)’의 일자리를 개설, 생활밀착형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 도는 27개 시ㆍ군에 행복마을관리소를 40개소 설치했다. 도는 이번 국가 추경에서 국비 1천216억원을 반영할 경우 전국 사업비 예산으로 집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디지털 경기도사 편찬 ▲전기차 충전소 확대 ▲2층 전기버스 도입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안정적 추진 ▲에너지자립 마을 조성 ▲서민금융복지지원센터 운영 등도 건의안에 명시됐다.
도 관계자는 “정부 정책과 연계 추진할 수 있도록 디지털ㆍ그린 뉴딜 중심으로 건의사업을 추렸다”며 “조만간 열릴 국무회의에서 국비 확보 성과를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