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대선경선룰 조기확정 추진...“선수의 룰 관여 안돼”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8월 전당대회에 앞서 차기 대선 경선룰을 미리 마련하기로 하고 당헌·당규 개정 검토에 나섰다. 이낙연 의원과 김부겸 전 의원 등 유력 대권주자들이 대거 전당대회에 도전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불공정 시비’ 논란을 일찌감치 차단하겠다는 의도다.

민주당 지도부는 8월 전대는 물론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룰을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에서 검토하도록 할 것으로 3일 알려졌다. 새로 선출되는 지도부가 대선에 나설 수 있는 만큼 미리 대선 경선 룰을 정해놓아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당내에선 21대 총선 공천룰이 선거 1년 전에 확정됐기 때문에 대선 경선룰 역시 선거 1년 전인 내년 3월9일 이전에 확정돼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하지만 차기 당 대표가 대선에 출마할 경우 당권·대권 분리 규정 때문에 내년 3월9일 이전에 사퇴해야 하는데 선수가 룰을 정하고 경선에 뛰어드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결국 이런 사태를 막기 위해 대선 경선룰을 조기에 확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경선룰을 현 지도부에서 정할지, 일단 가이드라인을 정하고 차기 지도부에서 다룰지 등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다만 대선 경선룰은 완전국민경선이라는 큰 틀을 유지하되 온라인 플랫폼 활용 강화 방안을 담을 가능성이 크다.

완전국민경선은 일반 국민을 선거인단으로 모집, 대의원 및 권리당원과 마찬가지로 동등한 1표 가치를 갖도록 하는 방식이다. 대의원·권리당원 투표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국민참여경선과는 다르다. 또한 민주당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비대면 문화가 확산하고 있는 만큼 온라인 플랫폼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 경우 현장 투표소 설치 또는 대의원 현장 투표 등 기존 방침이 바뀔 수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기존의 핵심적인 틀은 유지하면서도 선거 방법론과 관련해 새로운 기술이나 플랫폼을 도입하는 방향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