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맞아 인천이 산업구조 개선이나 일자리의 질 유지, 인천e음카드를 활용한 클린공간 조성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3일 인천시의회 지역경제선순환연구회 주관으로 기획행정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코로나19 이후 인천의 경제여건변화와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이 같은 방안을 제시했다.
김하운 인천시 경제특별보좌관은 주제발표를 통해 우선 지역경제 선순환을 위한 산업구조 개선을 대응 과제로 꼽았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스마트화를 지원할 사업서비스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제조산업의 원자재 및 중간재를 국내에서 공급받도록 유도해 시설 투자나 노동 등이 지역에서 발전하는 선순환구조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특보는 “교육·의료·개인서비스의 비대면 거래수요 확대에 부응해 교육서비스 및 개선서비스업의 디지털화와 오프라인 거래를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김 특보는 또 중앙정부의 정책추진에 호응해 시민의 소득이 올라가도록 하고, 인천시민이 타 지역에서 돈을 쓰는 역외소비를 인천에서 쓰도록 촉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재택근무 등 원격근무를 장려하면서도 일자리의 질을 유지토록 해야 하고, 장시간 근로자들이 단시간 근로자로 바뀌지 않도록 사회보장 지원도 필요하다고 했다.
주제발표에 이은 토론시간에서 강원모 시의원은 일자리 방식의 변화가 생긴 만큼 지방정부의 역할이 바뀌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코로나19 사태로 재택근무나 원격근로, 플랫폼노동자의 증가 등 고영의 방식과 일자리 형태가 변화하는 것에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강 의원은 “코로나19로 비정규직 노동자의 줄해고가 현실화했다”며 “지방정부가 이들의 처우와 일자리 보호에 앞장서야 한다”고 했다.
이 밖에 조성헌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신뢰성 대면공간을 각종 사업에 확대 적용, 클린공간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클린공간을 음식업종에 적용하면 회원제 음식점의 출현과 활성화가 뉴노멀 시대의 트랜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를 해결할 방법으로는 인천e음카드 활용을 꼽았다. 클린공간 정보를 e음카드에 연계하는 방식이다.
좌장을 맡은 이병래 기획행정위원장은 “코로나19 이후 인천의 경제여건 변화, 인천의 대응 방안이 뭐가 있는지에 대해 시 본청의 의견을 들을 수 있어 의미가 있었다”며 “이번 토론회를 통해 인천시가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에 맞는 정책을 발굴하는데 온 힘을 모아주길 바란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