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내항 1·8부두 개방에 해양수산부 원칙적 동의

인천 내항 1·8부두가 시민의 품으로 돌아간다. 해양수산부가 내항 1·8부두 개방에 원칙적으로 동의했기 때문이다. 인천시와 해수부는 개발 계획에 가려져 있던 내항을 시민에게 우선 개방하자는 데 큰 틀의 합의를 이끌어냈다.

7일 시에 따르면 지난 5월 27일 해수부로부터 내항 1·8부두 개방에 대해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는 답변을 받았다. 해수부는 개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문제와 활용 방안 등에 대해 시가 인천항만공사(IPA), 인천지방해양수산청 등과 협의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아 이 같은 동의 의견을 내놨다.

이는 시와 해수부가 사업성 부족과 고밀도 개발 우려 등의 이유로 합의점을 찾지 못하던 내항 1·8부두 개방에 처음으로 뜻을 모은 것이기에 의미가 특별하다.

특히 개발 계획 수립에 치우치기보다는 시민을 위한 실질적인 공간으로 내항을 조성하는 방안에 집중하겠다는 의미도 담겨 있다.

시는 이번 해수부와의 협의를 토대로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 기반시설, 휀스설치, 철책철거 등 내항 1·8부두 개방과 관련한 사업비 27억원을 포함했다. 내항을 시민에게 개방하기 위해 더는 시간을 지체하지 않겠다는 시의 입장을 반영한 것이다.

이에 내항 1·8부두 공공재생 시민행동 등 시민단체에서는 환영성명서를 내는 등 내항 개방에 대한 지역사회의 기대감 역시 커지고 있다.

다만, 안전 문제와 이전 문제 등에 대한 인천내항부두운영(IPOC), 항운노조 등 부두 사용 주체들과의 협의는 과제로 남아있다. 현재 내항 1·8부두에는 공영선석이 운영 중이고, 중고차·철재 등의 하역작업 등을 통해 항만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또 내항 1·8부두 개방 시점이 아닌 개발 착공 시점에 맞춰 중고차 야적장 운영을 연장하려는 운영사들의 입장을 감안한 수익창출 방안에 대해 논의할 필요성도 있다.

시 관계자는 “세부 협의가 남았지만 개방이라는 원칙에 서로 동의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고, 이에 맞춰 집중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항운노조, IPOC 등과 공존할 수 있는 프레임을 만들기 위해 집중토론회 등을 열고 항만시설 제공 방안을 만드는 등 개방과 재생 차원에서 협의를 돕겠다”고 했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