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수천명의 방역인력을 학교 현장에 투입하는데 구체적인 실무 가이드라인이 없다는 지적(경기일보 5월28일자 7면)이 제기된 가운데 일부 학교 관계자들이 업무과중을 이유로 인력지원에 대한 보이콧 움직임이 일고 있다.
8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총 4천715명 규모의 방역인력은 학교 규모에 따라 1~3명씩 배치돼 학생들의 발열검사, 학교 방역 지원 등 학생 안전 보장을 위한 활동을 담당하게 된다. 이에 도교육청은 총 61억여원의 예산을 책정, 학교별 재적 학생 수 450명 이하 1명, 451명 이상 900명 이하 2명, 901명 이상 3명으로 추가 방역인력을 지원한다고 일선 학교에 안내했다.
그러나 이날 신청접수 결과, 총 2천567교 가운데 2천202교에서 4천212명을 신청하는 데 그쳤다. 이는 기존 뽑으려고 했던 인원보다 503명 부족한 수치다. 356개 학교는 아예 신청조차 하지 않았다.
학교 안에서 효율적인 업무분장 없이 기간제교사와 보건교사들에게 방역인력 공고, 면접, 근무 관리 및 상황점검 등 관련 업무가 몰리면서 아예 방역인력을 지원받지 않겠다는 학교가 속출하고 있는 것이다. 도내 A초등학교 관계자는 “도교육청에서 해당 사업의 업무 담당자를 적절하게 지정해주지 않고 학교가 알아서 하라고 하니 학교 구성원들 안에서 서로 미루기 일쑤여서 안 그래도 코로나 방역 및 학생관리 등으로 몸이 두 개라도 모자란 보건교사와 신임 또는 기간제교사들이 떠안고 있는 실정”이라며 “오죽하면 방역인력을 지원해주겠다는데 안 받겠다고 보이콧을 하겠냐”고 토로했다.
또 다른 B중학교 관계자는 “코로나19 방역 담당자들이 방역인력 지원사업을 반납하는 속사정에 대해 도교육청은 현장의 어려움을 경청하고 적절한 업무 분장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교육청 학생건강과 관계자는 “고양, 화성 등 일부 지자체에서 학교에 방역인력을 지원하고 있어 미신청한 학교도 있다”며 “현재 추가 수요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강현숙ㆍ이연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