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의 제안에 따라 ‘정무장관 신설’ 검토를 지시하면서 정무장관직 부활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경기 출신 정치인들이 장관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내년 후반기부턴 사실상 대선 모드에 돌입, 앞으로 1년이 문재인 정부 성적표를 좌우할 마지막 기회로 평가되는 만큼 대통령 의중을 가장 잘 아는 친문(친문재인) 인사가 정무장관을 맡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0일 민주당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김태년(성남 수정)·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와의 오찬 회동에서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에게 정무장관 신설 문제를 논의할 것을 지시했다. 이명박 정부 때 특임장관을 지낸 주 원내대표는 “(자신이 특임장관으로 있을 때) 정부 입법 통과율이 4배로 올라갔고, 야당 의원의 경우 정무장관이 있으면 만나기 편하다”며 정무장관직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정무장관직을 만들려면 정부조직법을 개정해야 하지만 정치권에선 신설 가능성을 비교적 크게 보고 있다. 정무장관직 신설이 첨예한 쟁점이 아닌 데다 야당에서 먼저 제안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튿날인 지난달 29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통상 야당은 정부가 비대해지는 것을 반대하는데 이번에는 야당에서 먼저 제의를 한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검토할 대목이라고 판단은 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이 177석 거대 여당으로 거듭났지만 입법 성과를 내고 ‘일하는 국회’를 실현하려면 협치가 절실하다. 이 때문에 정무장관직이 신설되면 문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잘 알면서도 야당 의원들과 대화할 수 있는 측근 인물이 임명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문 대통령과 오랜 기간 함께해온 전해철 의원(안산 상록갑)을 적임자로 꼽고 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출신인 전해철 의원은 참여정부 시절 민정비서관으로 일하며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이던 문 대통령과 호흡을 맞췄다. 또 문 대통령이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자리를 옮겼을 땐 문 대통령의 후임 청와대 민정수석을 지냈다. 지난 2017년 대선 당시에는 경기도당위원장으로서 문 대통령의 경기도 8대 공약을 주도적으로 기획했다.
특히 전 의원은 지난 원내대표 경선에서 꾸준히 협치의 중요성을 외쳤다. 그는 출마선언 당시 “협치의 제도화가 필요하다. 협치를 통해 개혁입법을 강력히 추진하고 반드시 성공시켜야 한다”며 “여야 의석 수에 따른 관행과 원칙은 견지하되, 대화와 타협의 정치를 가능하게 하는 협치도 집권여당인 민주당의 핵심 임무”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친문 인사인 최재성 전 의원도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최 전 의원은 지난 2018년 송파을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며 서울로 지역구를 옮겼지만 17·18·19대 국회 땐 남양주갑에서 국회의원을 지냈다. 최 전 의원은 문 대통령이 당 대표이던 시절 ‘호위무사’로 통했다.
당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가 성공하려면 개혁 입법을 완수해 성과를 내야 한다”며 “정무장관이 신설될 경우 대통령의 뜻을 가장 잘 알고 협치에 대한 신념, 철학을 가진 사람이 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고 말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