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보건교사 10명 중 9명 “방역인력 업무과중ㆍ배치 타이밍 놓쳤다”

“코로나19 방역인력 채용, 관리 업무가 보건교사에게 집중되고 무엇보다 보조인력 배치 시기가 늦었다.”

경기도 내 보건교사 열에 아홉은 최근 코로나19 학교 방역인력 지원 사업에 대해 이렇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보건교사회가 지난 6일~8일 3일 동안 도내 보건교사 2천500명(1천800명 응답)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방역보조인력 지원 관련 설문조사’ 결과다.

도내 일부 학교 관계자들이 불합리한 업무분장과 업무과중 등을 이유로 경기도교육청의 코로나19 방역인력 지원 사업에 대한 보이콧 움직임이 일고 있는 가운데(경기일보 9일자 7면) 경기도보건교사회가 코로나19 방역대책 중 특정 현안에 대해 자체 긴급설문조사를 이례적으로 시행했다.

10일 경기일보가 입수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방과후학교 강사, 퇴직교원, 자원봉사자, 시간강사 등을 초ㆍ중ㆍ고ㆍ특수학교에 배치(4천715명)해 방역활동, 생활지도 등을 지원하는 코로나19 방역인력 지원에 대해 보건교사 19.2%는 ‘필요 없다’고 응답했다. 방역보조인력을 거부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대다수(95.7%)가 보건교사의 업무과중과 보조인력 배치 시기가 늦어 실질적인 업무 지원을 받을 수 없다고 대답했다. ‘학교 내 방역체계가 잘 이뤄져 보조인력 지원이 필요 없다’는 의견은 1.4%에 불과했다.

방역보조인력으로 인한 학교 내 갈등 원인을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도교육청, 지역교육청, 학교 시스템 문제’(55.8%), ‘경기도교육청 학생건강과의 세심하지 못한 행정처리’(50.8%), ‘학생건강과 공문은 보건교사 업무라 다른 교직원은 할 수 없다 혹은 보건교사의 일을 돕는다는 식의 잘못된 학교문화’(44.9%), ‘경기도교육청의 불합리한 행정처리’(21.4%) 순으로 시스템 지적이 많았다.

보건교사들은 효과적인 방역지원이 되려면(복수응답) ‘방역체계는 학교구성원 모두의 책임이라는 인식’(57.8%)과 ‘학생 수, 학급 수에 의한 물품 지원, 또 다른 업무가 가중되는 지원(물품 수령ㆍ인력관리 등)이 아닌, 학교 현장의 실질적 요구에 의한 지원’(46.7%), ‘학교 현장의 요구, 실태를 경기도교육청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실무자인 보건교사와의 소통창구 마련’(36.2%)을 꼽았다. 또 ‘경기도교육청 감염병 대응팀 재편성 및 역할 재정립’(19.8%)도 시급하다고 답했다.

천아영 경기도보건교사회 회장은 “도내 보건교사들이 등교 수업 이전에 보조인력 요청을 했지만 도교육청은 선제적으로 예측하고 기민하게 대응하지 못해 현 시점에 방역인력 지원 사업은 적기를 놓쳤다”고 지적하며 “좋은 취지의 사업이지만 도교육청에서 정확한 업무분장에 대한 명시가 없어 보건교사에게 업무가 과중되고 행정실 등 학교 구성원 간 갈등을 초래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천 회장은 “학교 현장의 실질적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현장과 소통하면서 실정에 맞는 인력 지원 등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강현숙ㆍ이연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