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오전 수원 권선구의 한 PC방. 이곳은 얼마 전 수원 55번 확진자가 다녀가 집단감염 우려가 일었다. 그럼에도 출입자 명부는 찾아볼 수 없었고 이용객들은 아무 확인 없이 입장했다. PC방은 한 장비를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탓에 감염 우려가 크지만, 이곳에서 30분 머물 동안 직원은 손님들이 떠난 뒤에도 장비를 소독하지 않았다. 친구와 함께 줄지어 앉아 게임을 즐기던 중학생 J양(14)은 “깜빡하고 마스크를 못 챙겼다”며 “같이 게임을 하려고 PC방까지 온 건데 떨어져 앉으면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말했다.
같은 날 오후 용인 기흥구의 PC방도 사정은 마찬가지. 전체 98석 중 47석이 채워졌지만, 마스크 착용과 1m 거리두기를 준수하는 이용객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심지어 3㎡ 남짓한 흡연실 안에 남성 5명이 빼곡히 서서 흡연했다. 입구에 덩그러니 놓인 명부를 보니 알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휘갈겨 적거나, 한 가지 숫자만 연달아 나열돼 가짜로 추정되는 번호도 많았다. 이곳 직원 K씨(26)는 “혼자 음식 주문도 받고 청소도 해야 한다”며 “손님이 언제 들어올지도 모르는데 계속 출입구에만 있을 수는 없지 않겠냐”고 말했다.
전국 고위험시설 이용자에 대해 QR코드 전자명부 작성이 의무화된 가운데 집단감염 우려가 상존하는 PC방은 대상에서 제외돼 ‘방역 구멍’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정부는 코로나19 방역의 일환으로 이날부터 고위험시설 이용자에 대해 QR코드를 통한 전자명부 작성을 의무화했다. 대상은 ▲헌팅포차 ▲감성주점 ▲유흥주점 ▲단란주점 ▲콜라텍 ▲노래연습장 ▲실내 집단운동시설 ▲실내 스탠딩공연장 등 8곳이다.
이처럼 밀폐된 공간에서 불특정 다수가 밀집해 이용하는 PC방이 고위험시설 분류에서 제외돼 방역 사각지대에 놓였다는 우려가 나온다. PC방은 여러 사람이 한 장비를 공유하는 데다 등교 개학 후 학생들까지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찾은 수원ㆍ용인 등 경기지역 15개 PC방 중 수기 명부가 비치된 곳은 단 2곳이었다. 이마저도 별도의 권고나 안내가 없어 사실상 자율에 맡겨졌다. 특히 명부에 적힌 내용은 앞선 사례처럼 허위로 추정되는 내용이 많아 확진자 발생 시 역학조사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컸다.
이에 대해 김탁 순천향대 부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소규모 집단감염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역학조사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며 “QR코드 방문자 관리의 확대 운영은 방역의 수월성 측면에서 분명히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장희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