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기신용보증재단이 코로나 막고 간다

지금 이 순간, 소기업ㆍ소상공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뭘까. 경기도가 그 안타까운 속내를 들어봤다. 경기지역 화폐 가맹점 1천 곳을 대상으로 설문했다. 지역 화폐에는 기본적으로 지역 소상공인들이 가입한다. 89%가 최근 매출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21%는 임시 휴업을 한 적이 있다고 했다. 어려움을 해결할 방법을 물었다. 응답자의 23%가 금융기관에서의 대출을 꼽았다. 가장 많은 답이다. 보증 또는 담보에 어려움이 있다고도 했다.

이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지역 신용보증재단이다. 여력이 없는 소기업ㆍ소상공인에게 대출 보증을 서준다. 전국에 16개가 있다. 이 가운데 경기신용보증재단이 단연 눈에 띈다. 5월 말 현재 도내 14만1천여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3조9천억원의 보증서를 발급했다. 모든 신용보증재단 중 1위다. 2019년에는 2조8천억여원, 2018년에는 2조6천억여원, 2017년에는 2조5천800억여원이었다. 올해 급증한 이유는 볼 것 없이 코로나다.

선제적 대응이 있어서 가능했다. 코로나19가 본격 확산되기 전에 대책을 세웠다. 경기도와 함께 수립한 ‘코로나19 피해 기업 지원을 위한 종합대책’이다. 지원할 수 있는 자금의 규모를 4조3천억원까지 넉넉히 늘려놓을 수 있었다. 또 긴급대응 TF를 구성해 현장감 있는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신청 기업에 대한 신속한 지원을 위해 시중은행과 업무 협약도 체결했다. 그냥 이뤄진 ‘1위’가 아닌 것이다.

전국에 신용보증재단은 많다. 저마다 소기업ㆍ소상공인을 위한 대책과 성과를 내놓고는 있다. 관건은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상공인에게 역할을 하느냐는 것이다. 이는 사전 준비 없이 이뤄질 수 없다. 경기신용보증재단의 ‘전국 1위’에는 이런 배경이 있다. 여기에 시대 상황을 접목한 과감한 리스크 감내도 평가해야 한다. 소상공인들이 다 죽겠다고 난리다. 사업 규모를 예년의 두 배로 늘렸다. 주판알만 튕기고 있었다면 불가능했다.

코로나19는 우리 사회에 ‘현금 지원’ 문화를 던졌다. 지역 재난 소득, 정부 지원금 등이다. 국민이 다 환영한다. 그 이면에서 고통받는 계층이 있다. 소기업ㆍ소상공인이다. 별도의 재난소득도 없고, 재난 지원금도 없다. 그러니 기댈 곳이라고는 금융 대출밖에 없다. 이럴 때 해줄 수 있는 게 딱히 없다. 그 대출이 가능하도록 보증을 돕는 게 유일하다. 이걸 잘하고 있는 곳이 경기신용보증재단이다. 그 노력과 결과에 아낌없는 평가를 보낸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