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수수료수익 커졌는데…순익 반 토막이라니

1분기 56개 증권사 당기순이익은 전분기보다 5천303억원(△50.1%) 감소

여의도 증권가. 민현배기자
여의도 증권가. 민현배기자

증권사들이 코로나19 영향으로 주식·펀드·파생관련 수익이 줄면서 순익이 반토막 났다. 금리하락으로 채권평가이익이 늘고 주식거래가 증가하면서 수수료수익이 증가했는데도 순익이 절반으로 하락한 것이다.

금융감독원은 1분기 증권사(56사) 당기순이익은 전분기보다 5천303억원 감소(△50.1%)한 5천274억원이라고 16일 밝혔다.

순익 감소는 자기매매손익과 기타자산손익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자기매매손익은 852억원 감소(7.3%)한 1조788억원이다. 주식관련이익은 1천85억원으로 1천362억원 감소(55.7%)했고, 파생관련손익은 △6천714억원으로 1조1천100억원 축소(△253.1%)했다.

이와 달리 채권관련손익은 1조6천417억원으로 1조1천611억원 증가했다. 금리 하락으로 채권평가이익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주식, 파생에서 손해가 났지만 채권이 선방해 전체 손익이 덜 감소한 것이다.

기타자산손익 역시 줄었다. 1분기 △8천827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조7천662억원 감소(△199.9%)했다. 외환(+256.5%), 대출관련이익(+6.7%)은 증가했지만, 펀드관련이익이 급격히 감소(△457.5%)한 영향이 컸다.

주식시장에서 거래가 많아지면서 수수료수익은 늘었다. 1분기 수수료수익은 2조9천753억원으로 4천229억원 증가(+16.6%)했다. 거래대금 증가로 수탁수수료가 1조3천798억원으로 5천233억원 증가(+61.1%)하자 수수료수익이 증가한 것이다. 이와 달리 IB부문 수수료는 9천41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천107억원 감소(△10.9%)했다.

전체 증권사의 자산총액은 578조2천억원이며 95조3천억원 증가(+19.7%)했다. 부채총액은 516조6천억원으로 증가했고, 자본총액은 61조6천억원으로 감소했다. 투자자 예수금을 포함한 예수부채와 초대형IB 발행어음이 늘면서 부채가 증가한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 등 국내외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라면서 “부동산 경기 악화에 대비해 PF대출, 채무보증 등 부동산 그림자 금융을 상시로 관리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