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완규 고양시의원, "고양시 현충공원 명칭 단일화 필요"

▲ 김완규 고양시의원이 지난 15일 제244회 고양시의회 제1차 정례회 문화복지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 김완규 고양시의원이 지난 15일 제244회 고양시의회 제1차 정례회 문화복지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김완규 고양시의원(미래통합당)은 “고양시 현충공원의 명칭이 ‘고양현충역사공원’, ‘고양현충공원’ 등 여러가지로 사용돼 혼란을 초래한다”며 “명칭 단일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지난 15일 제244회 고양시의회 제1차 정례회 문화복지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조례와 표석에는 ‘고양시 현충공원’이란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며 “하지만 포털사이트에는 ‘고양현충공원’, 전시관과 건축물관리대장에는 ‘고양현충역사공원전시관’으로 돼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조례에 명명된 ‘고양시 현충공원’으로 명칭을 통일해 혼란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김 의원은 고양시 현충공원 부지를 국유지에서 시유지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고양시 현충공원 부지 1만6천877㎡의 약 70%는 산림청, 나머지 약 30%는 시 소유다”라며 “고양시 현충공원이란 명칭처럼 우리 시 소유의 부지로 만들어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2018년 시정 질문을 통해 같은 문제를 지적했다”며 “당시 복지정책과에서는 ‘산림청 소유 부지를 시유지로 환원 받아 고양시에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중ㆍ장기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답변했으나 아직까지 진척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산림청으로부터 부지를 임대해 운영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예산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 토지의 지가 상승 및 무상대부 기간이 종료되거나, 산림청과 계약 연장 또는 매각에 대한 부담이 있기 때문”이라며 “국가와 국민의 안위ㆍ존립을 위해 희생하신 선열들을 생각한다면 현충공원은 고양시가 토지를 소유해 운영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최석규 복지정책과장은 “고양시 현충공원의 명칭을 통일해 시민들의 혼란을 해소하겠다”면서 “부지 매입 건에 대해서는 산림청과 협의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 고양시 현충공원의 전시관
▲ 고양시 현충공원의 전시관

고양=유제원ㆍ김민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