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비롯한 6개 상임위원장 선출을 강행하면서 여야 대립이 격화, 정치권에 후폭풍이 몰아치고 있다. 민주당은 이번 주 안에 국회 원 구성을 마무리하고 3차 추가경정예산(추경)안 등을 조속히 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미래통합당은 전면 보이콧을 선언하는 등 21대 국회 시작부터 정국 경색이 심화하고 있다.
민주당은 16일 통합당이 계속 원 구성 협상에 응하지 않을 경우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포함해 남은 12개 상임위원장마저 가져갈 수 있다며 압박에 나섰다. 김태년 원내대표(성남 수정)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총선과 코로나 팬더믹을 거치며 달라진 세상을 통합당은 직시하고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며 “통합당은 일하는 국회에 헌신할 좋은 기회를 낭비하지 말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민주당은 특히 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지난 4일 국회에 제출한 35조3천억원 규모의 추경안 처리가 시급하다며 국회 정상화를 촉구했다. 윤후덕 기획재정위원장(파주갑)은 “3차 추경안을 정부가 제출한 지 12일이 지났지만 정부 부처 시정 연설도 안 돼 17일 홍남기 경제부총리를 위원회에 출석시켜 업무보고를 받겠다”며 “속히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열려 심사토록 해 빨리 집행되도록 독려하겠다”고 예고했다.
반면 통합당은 민주당의 일방적인 국회 상임위원장 선출과 상임위 강제 배정을 놓고 ‘헌정사상 유례없는 폭거’라며 의사일정 보이콧을 선언했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긴급 비대위 회의를 열어 지난 1979년 김영삼 당시 신민당 총재가 집권당인 공화당에 의해 국회에서 제명된 일을 언급하며 “헌정사에서 다수의 횡포가 어떤 결과를 초래했는지 잘 알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다수 힘만으로 의회 기능을 유지할 수 있을지 의장이 냉정하게 생각해야 한다”며 “거대 여당이 민주주의 의회의 기본을 망각하는 현상을 초래한 것에 대해 유감”이라고 꼬집었다.
김성원 원내수석부대표(동두천·연천)를 비롯한 통합당 의원 25명은 박병석 국회의장과 만나 30여 분 동안 면담했다. 이들은 상임위 강제배정에 항의하고 6개 상임위원장 선출을 취소하라고 요구했다. 또 상임위에 강제 배정된 통합당 의원들은 전원 사임계를 냈다.
김재민·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