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개항창조도시 조성사업 난항

인천시가 추진 중인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전체 사업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8개 사업이 재검토·보류 단계에 머물러 있어 추진 여부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16일 시에 따르면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의 총사업비는 5천667억원이다.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은 국비 지원이 이뤄지는 마중물 사업 3개(360억원)와 부처 협력사업 5개(387억9천만원), 지자체 사업 14개(1천349억800만원), 민간투자사업 3개(3천579억원) 등이다.

그러나 현재 사업 추진이 이뤄지지 않고 있거나 사업재검토, 보류 등으로 추진이 불투명한 사업비는 3천702억원에 달한다. 마중물 사업 중 상상플랫폼 조성사업은 당초 민간사업자였던 CJCGV가 사업을 포기하면서 사실상 멈춰있다. 상상플랫폼 조성사업은 246억원에 이른다.

지자체 사업 중에는 자유공원 일대 경관개선사업(10억원), 근대건축물 재현 사업(109억6천100만원), 인천역주변 지하차도 조성사업(348억원), 입체보행통로 조성(24억원), 우회고가 공중정원 조성 정비사업(40억원), 등 5개 사업(531억6천100만원)이 사업 재검토 및 보류 상태다.

민간투자사업에서도 인천복합역사개발 등 2개 사업이 민간투자를 위한 메리트 부족 등으로 사업자 모집에 실패해 추진이 불투명하다.

인천시의회 결산검사위원회도 ‘2019 회계연도 인천시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결산감사 의견서’를 통해 이 같은 문제를 지적했다.

이에 결산검사위원회는 사업을 전면재검토해 사업이 추진 가능한 방안을 찾고 사업 추진 집중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추진 부서를 배분해 사업별 성과지표를 설정해야 한다는 결산검사의견을 제시했다.

이에 시는 개항창조도시 조성사업 중 폐기 사업과 대체 추진 사업 등을 분류하는 등 사업 개편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미 지난 4월 도시재생사업 주요사업 점검 영상회의에서 국토교통부에 폐기할 사업과 대체 사업 등에 대해 보고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개항창조도시 사업 면적 중 앞서 LH(한국토지주택공사) 총괄사업관리자 방식의 도시재생 뉴딜에 뽑힌 ‘동인천역 2030 역전 프로젝트’를 구역에서 제외하기도 했다.

시는 2020년 하반기 중 이런 내용을 담은 개항창조도시 활성화계획 변경을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비를 투입하는 사업은 당초 사업 기간인 2021년까지 추진이 무리가 없다고 보고 받았다”며 “다만 지자체사업 등에 대해서는 곧 활성화계획 변경을 계획 중이라는 내용을 공유받았다”고 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사업을 정리할 것은 정리하고 집중적으로 추진할 부분은 추진할 수 있도록 사업을 재구성 중”이라며 “특히 사업 추진이 어려운 것들은 대안을 마련해 조속히 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