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소부장(소재ㆍ부품ㆍ장비) 특화단지’ 후보지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시화 국가산업단지를 정부에 추천했다.
정부는 다음 달 심의를 통해 전국에서 1~2곳을 특화단지로 지정할 방침이며, 특화단지에는 규제 특구ㆍ투자 촉진ㆍ스마트화 등 ‘파격 혜택’이 부여될 예정이다.
경기도는 “지난 1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소부장 특화단지’ 경기도 대표 후보지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시화 국가산업단지(시흥)를 선정ㆍ신청했다”고 22일 밝혔다.
앞서 산자부는 지난 2월 문재인 대통령에게 ‘2020년 업무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부장 특화단지를 언급한 바 있다. ‘일본 수출 규제’에 따른 산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하자는 의견이었다. 지난달에는 ‘제4차 소부장 경쟁력 강화위원회’를 열고 구체적인 공모안을 제시했다. 전국 광역지자체로부터 후보지를 접수, 전국에서 1곳 혹은 2곳을 특화단지로 시범 운영한다는 것이다.
특화단지에 지정되면 범정부 차원에서 각종 지원이 이어진다. ▲입지 확보 및 투자 활성화(임대료 감면 및 투자촉진보조금) ▲인프라 확충(정주 여건 제고) ▲규제 특례 적용(규제자유특구 지정) ▲실증기반 확충(테스트베드 지원 및 양산ㆍ성능평가) ▲기술개발ㆍ이전 활성화(국제협력 R&D) ▲스마트화 촉진(스마트 산단 연계) 등이다.
이에 도는 기존 산단 대표로 시화 국가산단, 신규 산단 대표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각각 제시했다. 기계ㆍ금속 업종이 몰린 시화 국가산단에서는 지난해부터 ‘스마트 산단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 중인 만큼 특화단지 지정 시 연계 효과가 기대된다. 반도체 산업 메카로 구축 중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지정 가능성이 가장 큰 후보지로 꼽힌다. 홍남기 부총리가 문 대통령에게 보고할 때 대표 사례로 거론했고, ‘일본 수출 규제’와 연관성이 깊은 반도체 업종을 다루기 때문이다.
산자부는 내부 서류 확인 및 현장 조사를 거쳐 이르면 다음 달 경쟁력 강화위원회를 열고 평가 기준(산업 집적, 전문 인력 확보, 지자체 계획 연계 등)에 맞춰 심의한다. 이후 관계 부처 협의를 통해 연내 최종 지정 여부를 발표할 방침이다. 반도체 클러스터와 경제자유구역 등 대형 사업을 유치한 용인ㆍ시흥이 호재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되지만 비수도권의 관심이 매섭다. 지난주 접수 마감 결과, 경기도 외에도 경남ㆍ대전ㆍ전남ㆍ충북 등 비수도권을 비롯해 10곳 이상의 지자체가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규식 경기도 경제기획관은 “용인 SK하이닉스 반도체 클러스터는 수원ㆍ용인ㆍ평택ㆍ이천을 넘어 충청도까지 방대한 지역에 영향력을 발휘할 사업이고, 시화 국가산단 역시 오래된 역사 속에서 가치를 품은 곳”이라며 “이번 특화단지로 지정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업무 계획에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명시됐지만 아직 정해진 건 없다”며 “특화단지를 1곳 지정할지 혹은 2곳 지정할지 정리되지 않았다. 복수 지자체가 참여한 만큼 세밀히 심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