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엉망진창 기술닥터’ 대폭 혁신…전문인력 356명 도지사 명의 위촉

경기도가 ‘기술닥터’ 전문인력을 전원 해촉하고 신규 인력을 선발했다. 기존 기술닥터 등록인력이 약 30%만 활동에 참여하는 탓에 사업의 공정성과 효과성을 담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기술닥터 전문인력 356명을 도지사 명의로 직접 신규 위촉했다고 22일 밝혔다.

기술닥터는 대학교수, 국가 출연 연구소 연구원, 기술사 출신 등 전문가가 직접 중소기업을 방문해 기술적인 어려움을 해결해주는 사업으로 지난 2009년 처음 시행됐다. 그러나 기존 1천200명의 기술닥터 중, 단 348명(29%)만 활동하면서 전문인력 1명이 무려 13개 업체를 컨설팅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이에 도는 사업수행 기관인 경기테크노파크 원장이 기술닥터를 위촉해왔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경기도가 직접 이재명 지사 명의로 위촉하는 형태로 제도를 변경, 관리감독을 한층 더 강화하기로 했다.

도는 이번에 신규 위촉된 인력을 대상으로 책임과 윤리의식을 강화하는 온라인 교육을 시행할 방침이다. 아울러 전문인력 1명당 컨설팅 기업 수를 10개 이내로 제한, 제도 효율성을 높일 예정이며 우수 기술닥터에게는 혜택 부여로 활동을 독려할 계획이다.

또 이번 위촉을 시작으로 분기별로 기술닥터를 추가 위촉해 ‘전문인력 풀’을 확대한다.

최병길 도 과학기술과장은 “도지사가 기술닥터 전문인력을 위촉해 위상이 높아진 만큼 보다 공정하고 효과적인 사업이 추진되도록 노력하겠다”면서 “국내 최고의 전문가들로 인력풀을 구성해 중소기업이 실질적인 기술지원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중소벤처기업부는 ‘경기도 기술닥터’가 중소기업의 기술력을 강화, 매출증대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점을 높이 평가해 이를 벤치마킹한 ‘기술닥터제’를 도입·시행하기로 발표한 바 있다.

이광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