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칼럼] 포스트 코로나 시대, 청소년들의 삶

수원 영덕중 정서현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지역사회 감염 차단을 위해 실시된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과 생활 방역 수칙 등으로 우리 삶은 많이 달라졌다. 청소년들에게 일어난 가장 큰 변화는 ‘개학 연기’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한 여러 차례 개학 연기로 인해 청소년들은 ‘온라인 수업’이라는 새로운 방식으로 수업을 듣게 됐으며 과제 제출 역시 온라인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수능 일정까지 연기됐다. 모임 및 외출 자제로 인한 모임 취소 또한 많이 일어난 일이다. 코로나19 이전 일상생활은 이제 더이상 자유롭게 누릴 수 있는 생활이 아니다. 경제활동은 재택근무로, 소비활동은 온라인 구매로 하고 있다.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이에 코로나19 사태 극복 이후 일어난 일들을 이르는 말인 ‘포스트 코로나’라는 말이 생겨나며 관심을 끌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는 포스트(Post, 이후)와 코로나19의 합성어로, 코로나19 극복 이후 다가올 새로운 시대·상황을 이르는 말이다. 포스트 코로나에는 대표적으로 언택트 문화(untact, un과 contact의 합성어로 비대면ㆍ비접촉 문화를 이르는 말) 확산, 원격수업, 재택근무의 확산 등이 있다.

언택트 문화의 확산에는 스포츠 경기와 예술 공연 등이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야구 경기는 최초로 무관중 경기로 진행됐고, 예술 공연 등은 라이브 방송으로 진행됐다. 원격수업과 재택근무의 확산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처음 시행된 원격수업과 재택근무가 앞으로도 다양한 상황에 적용되며 이에 따른 디지털 기술 발달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포스트 코로나의 한 예이다. 이처럼 미래 사회에는 코로나19 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생활 방식들이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청소년들 또한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청소년들은 어떤 삶을 살게 될까? 청소년들은 원격수업의 확산에 따라 온라인 강의 수강 시 데이터 지원, 다양한 온라인 강의 영상들 등 가정에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 전보다 개선돼 집에서도 쉽게 학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원격수업은 학교 등 오프라인 학습 장소에 가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원하는 시간에 쉽게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산간 오지 학생들과 같이 이동에 제약이 있는 학생들도 편하게 학습할 수 있다. 반면, 온라인 수업은 서로 얼굴을 보고 수업하는 것이 아닌 전자기기의 화면을 보고 학습하는 것이기 때문에 집중력과 학습 능률이 떨어진다는 단점 또한 있다.

수원 영덕중 정서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