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후폭풍’ 인천지역 대중교통 수요 확 줄었다

인천의 대중교통 수요가 코로나19 탓에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병으로 급감한 대중교통 수요를 회복하는 데에는 2년 이상의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어 그동안의 대중교통 체계를 지키기 위한 선제적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29일 인천시와 인천교통공사 등에 따르면 인천도시철도 1호선의 수송실적은 1월 814만6천524명에서 전국적으로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한 3월 557만3천130명으로 대폭 감소했다. 이는 지난해 3월 수송실적 931만3천432명과 비교하면 374만302명(40.2%)가 줄어든 것이다.

인천 2호선의 수송실적은 1월 449만2천26명에서 3월 318만88명으로 감소했고, 지난해 3월과 비교하면 179만4천535명(36.1%)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의 시내버스 수송실적도 마찬가지다. 1월 2천529만1천310명에서 3월 1천816만8천78명으로 감소했고, 지난해 3월과 비교하면 1천54만7천202명(36.7%)이 줄어드는 등 규모면에서 도시철도 수송실적 감소분의 배를 넘어갔다.

코로나19에 따른 대중교통 수요 변화는 인천연구원이 최근 교통카드 자료를 통해 분석한 결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인천연구원이 지난해 2월 18~24일과 올해 2월 17~23일의 교통카드 자료를 비교한 결과, 평일과 주말의 수도권 버스, 지하철, 버스·버스 환승, 버스·지하철 환승 등 모든 유형에서 대중교통 통행량이 급감한 것으로 나왔다.

인천연구원은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대중교통 사업자 운영비용 경감을 위한 한시적 지원 확대 고려, 영세 법인 및 개인택시 안정 대책 및 대중교통 운송서비스 효율성 확보 방안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정책을 제언했다. 이들 정책은 과거 메르스와 사스 등 감염병으로 감소한 대중교통 수요를 회복하는데 2년 이상이 걸린 것을 감안해 회복기간 중 안정적으로 대중교통 체계를 지키기 위한 것이다.

김종형 인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감소한 대중교통 수요를 회복하려면 메르스 때보다 더 긴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며 “막대한 재정을 투입해 올려놓은 대중교통 수요를 지키기 위한 선제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