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연수구, 송도 자동집하시설 개선 용역 착수…소유권 이관 갈등 해법 주목

인천 연수구가 송도국제도시 내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여러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용역에 착수했다. 이번 용역은 자동집하시설의 소유권 이관을 두고 갈등을 빚던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상호 협의로 추진하는 것이라서 최종 결과에 대한 지역 안팎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5일 구에 따르면 최근 ‘송도 자동집하시설 개선방안 마련 연구용역’의 입찰·계약 절차를 모두 마무리했다. 이번 용역의 과업은 송도 내 자동집하시설에 대한 시설물 실태조사, 기능 및 상태 점검, 잔여수명 산정, 문제점 도출, 개선방안 수립, 소요비용 및 재원 조달방안 검토, 한시적인 시설물 전면 재설치 또는 폐쇄 검토 등이다.

현재 송도에는 1~5공구와 7공구에 모두 7개의 자동집하시설이 있다. 주민편익시설인 이들 자동집하시설은 이미 감사원이 지적한 기능상 하자를 비롯해 관로 일부 구간의 사용수명 도래 전 천공 발생, 사용수명 도래 이후 대책 전무 등의 여러 문제를 안고 있다. 이들 자동집하시설의 소유권은 올해까지 인천경제청에 있지만, 관련 협약에 따라 내년부터는 구로 넘어간다.

그러나 구는 자동집하시설의 사용수명(30년)이 지난 이후부터 들어갈 재설치 비용 등 막대한 유지보수비를 우려해 소유권 이관을 거부하고 있다. 또 구는 지난 2015년 협약 이후 이듬해부터 올해까지와 마찬가지로 자동집하시설의 운영관리권만 가진 채 운영비 일부를 인천경제청으로부터 지원받던 방식을 유지하길 바라고 있다. 이에 구는 올해 초부터 협약 무효를 주장하고 나선 데 이어 지난 5월 소유권 이관과 관련한 행정안전부 중앙분쟁조정위원회의 분쟁 조정 절차에 들어간 상태다.

자동집하시설의 소유권 이관을 두고 구와 인천경제청이 갈등을 겪던 상황에서 이번 용역은 큰 변수를 낳을 것으로 보인다. 구가 인천경제청과 상호 협의하에 이번 용역을 추진하는 것이고, 자동집하시설에 대한 개선방안 수립뿐만 아니라 관련 소요비용 및 재원 조달방안 검토 역시 과업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구 관계자는 “이번 용역은 지난해 관련 민관협의회 과정에서 정밀진단 용역이라는 내용으로 인천경제청과 협의·추진하기로 이야기한 부분”이라고 했다. 이어 “이번 용역은 향후 인천경제청과 소유권 이관 등에 대한 협의점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중간접점을 찾는 역할을 할 것으로도 본다”고 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