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 조명희 의원(비례)은 7일 “기존의 공공 부문 일자리 양산이 아닌 미래 고부가가치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 본관에서 ‘미래산업일자리특위’ 첫 회의를 주재하고, “문재인 정부의 재정만능주의에 기반한 공공 일자리 양산정책으로는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경제 침체와 취업난을 해결할 수 없다”고 지적하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2일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전개될 사회적 변화와 이슈를 선도하기 위해 과학기술·위성정보 전문가인 조명희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미래산업일자리특위’를 출범시킨 바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김종인 비대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조 위원장과 16인의 위원에게 임명장을 수여하고, ▲전통산업과 ICT 융합 ▲ICT 신기술 및 데이터 활용 ▲스타트업과 기업육성 ▲융합형 인재양성 방안 등 향후 특위가 중점적으로 추진할 정책 아젠다를 논의했다.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4차산업 시대에는 고도의 전문성을 갖춘 일자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하기에 그런 일자리를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특위가 노력해줬으면 좋겠다”고 강조하며, “미래 산업에도 우리가 이전처럼 많은 일자리는 아니더라도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밝혔다.
조명희 위원장은 “우리나라는 미래산업정책을 포괄적으로 추진하고, 기존 규제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부분이 많아 4차산업 적응력 순위가 주요 45개국 중 25위에 그칠 정도로 속도가 더디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우리나라 경제 체질을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 바꾸고, 신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역동적 환경이 마련해야만 새로운 일자리 창출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정부 주도의 성장모델이 한계에 직면하고 기초체력이 약화된 한국 경제의 근본적인 구조개혁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국가 미래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위원장은 또한 “교육자이자 과학자, 벤처기업 CEO로 지내며 체감한 경험을 바탕으로 과학기술, 교육, 산업, 노동 분야별로 어떠한 구조개혁이 필요한지 실질적인 미래전략을 수립해 나가겠다”고 피력했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