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그린뉴딜의 일환으로 가축의 사체를 이용해 다양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바이오에너지 사업’ 구상에 나섰다.
경기도는 질병으로 폐사돼 축산 농가에 산더미처럼 쌓이는 닭ㆍ소ㆍ돼지 등을 안전하게 처리하고, 폐 가축 자원을 재활용해 친환경에너지도 확보해나가겠다는 구상이다.
경기도는 이 같은 내용의 ‘폐 가축을 이용한 바이오에너지화 사업’을 내년부터 추진해 오는 2022년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가동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이 사업은 농장 내 자체처리하는 폐사가축을 합법적으로 처리하도록 하고 폐 가축을 자원화하기 위해 추진됐다. 특히 최근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 기조에 발맞추고자 경기도 차원에서 선도적으로 마련됐다.
해당 사업은 랜더링처리업체(민간 또는 동물자원순환센터), 축산농가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사업 방식은 도가 랜더링업체를 통해 폐 가축의 안전한 운반을 위한 사체전용 운반차량을 지원하고, 정책의 신속한 정착을 위해 축산 농가의 처리비용에 대해 도움을 준다.
다만, 도는 처리비용 지원을 최초 100% 보조하고 순차적으로 보조비율을 축소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도는 폐 가축의 부패방지를 위해 저온보관소를 도내 3천여개 설치할 계획이다. 처리된 폐 가축은 화력발전소, 자동차 연료 등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도는 가축의 사체를 처리하는 시설인 동물자원순환센터를 조속하게 완공하고, 비용 최소화를 위한 국비 확보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겠다는 복안이다. 특히 폐 가축 처리 산물의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관련 법 개정을 추진하고, 생산자단체들과도 지속 협의할 예정이다.
이 같은 폐 가축의 바이오에너지화 사업을 통해 동물자원순환센터의 평시 운영이 가능해지고, 농장 내 환경개선이 이뤄져 악취 등 민원이 감소될 것으로 도는 기대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세계는 지금 재활용, 친환경에너지화에 전력하고 있으며 독일 등 일부 국가들은 폐 가축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고 있다”며 “폐 가축을 이용한 바이오에너지화 사업은 폐가축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에너지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