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서 홀로 생을 마감하는 무연고자가 해마다 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3일 인천시에 따르면 최근 5년 간 지역 내 무연고 사망자는 총 842명이다. 무연고 사망자 수는 지난 2015년 137명, 2016년 160명, 2017년 180명, 2018년 170명, 2019년 195명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특히, 올해는 1~6월까지 무연고 사망자가 111명에 달해 연말까지 지난해 사망자 수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무연고 사망자들은 발견까지도 상당기간이 걸린다. 홀로 생을 마친 이들에 대한 사후 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무연고 사망자의 집을 청소하는 특수청소 업체 대표인 서석진씨(58)는 “무연고 사망자는 이웃에서 냄새가 날 때까지 부패한 후에야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며 “특히나 내가 본 무연고 사망자 중 90% 이상은 연탄을 이용한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등 마지막이 쓸쓸해 안타깝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무연고자의 극단적인 선택을 막고, 이들이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것을 막기 위한 지자체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미숙 자살방지상담센터 센터장은 “무연고자의 경우 우울증 등이 겹쳐 극단적인 선택을 할 가능성이 커 지자체 차원의 능동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정기적으로 무연고자의 집을 찾는 ‘말 벗’을 지원하거나 여러 명의 무연고자가 함께 생활 할 수 있는 ‘공동체 가정’을 꾸리는 등의 구체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최진봉 성공회대학교 교수는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현상이 보편화하면서 무연고자가 사회로부터 소외되는 현상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며 “무연고자가 고립되지 않도록 지자체에서 소외계층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보여야 할 때”라고 했다.
하지만, 인천시의 무연고자 지원은 기초생활수급 서비스 안내, 긴급복지지원 등 일반적인 종합 지원에만 그치고 있다.
10개 군·구의 무연고 가정 관리를 위한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도 가정방문 등을 통한 세밀한 관리가 아닌 전화 확인 등 형식적인 수준에 그친다.
이마저도 관리 대상은 극히 일부다. 이 때문에 무연고자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대해 인천시 관계자는 “미처 발견하지 못한 무연고자를 발굴하고 적절히 지원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하겠다”며 “인천시민 중 누구도 사회로부터 고립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수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