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남촌도매시장 쓰레기 처리시설 부실설계… '악취' 진동

지난 3월 개장한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 쓰레기 처리시설의 설계오류가 발생하면서 악취 민원의 온상으로 전락한 환경동 지하1층 감량기 앞에 침출수가 넘쳐나고 있다. 장용준기자
지난 3월 개장한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 쓰레기 처리시설의 설계오류가 발생하면서 악취 민원의 온상으로 전락한 환경동 지하1층 감량기 앞에 침출수가 넘쳐나고 있다. 장용준기자

지난 3월 개장한 남촌농축산물도매시장(남촌시장)의 쓰레기 처리시설이 설계 부실로 가동을 멈춘 것으로 드러났다. 이 때문에 남촌시장은 쓰레기와 침출수 등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악취 민원이 빗발치고 있다.

13일 인천시 종합건설본부(종건)에 따르면 개장 1개월여만인 지난 4월 남촌시장의 쓰레기 처리시설 중 폐수 처리시설에 대한 가동을 중단했다. 또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배출하는 감량화시설 인근의 작업장도 침출수가 제대로 빠져나가지 않고 있다.

이들 쓰레기 처리시설 문제는 종건이 필요한 설비 등을 설계에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앞서 종건은 지난 2017년 약 1천615㎡ 규모의 쓰레기 처리시설을 설계했다. 이후 쓰레기 처리시설 설치에는 건축비용 4억원, 감량기 설치비용 4억원 등 총 8억원이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종건은 감량화시설 중 원심분리기를 설계에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전 구월농·삼산농산물도매시장의 감량화시설은 모두 원심분리기를 연결해 사용했다. 원심분리기는 감량화시설 중 감량기에서 배출하는 탈리액의 부유물질을 제거해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탈리액은 하수를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할 때 발생하는 잉여슬러지를 혐기성분해하고 남은 액체로, 그 농도가 높으면 폐수 처리시설의 작동이 멈춘다. 결국, 종건이 원심분리기를 설계에 반영하지 않아 폐수 처리시설이 가동 1개월만에 멈춘 것이다.

이와 함께 종건은 감량화시설 인근의 작업장에 고이는 침출수를 내려 보낼 수 있을 정도의 바닥 기울기 역시 설계에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작업장 바닥에는 2~3㎝ 이상의 침출수가 고여 악취가 심각하다.

특히 이날 남촌시장 내 쓰레기 처리시설을 방문한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 소속 시의원들마저도 현장 점검 과정에서 작업장 근처로 다가가지 못할 정도로 작업장의 악취 문제는 매우 심각한 상태다.

임동주 산업위원장은 “당초 원심분리기 미설치 등 설계 부실로 보인다”며 “다각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해 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종건 관계자는 “일부 설계가 미미했던 것은 맞다”면서도 “당시 관련법 등에 따라 제작한 것이기에 부실설계로만 보기는 어렵다”고 했다.

이승훈·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