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이 고(故) 박원순 서울시장의 장례식이 끝나자마자 박 시장의 여비서 성추행 의혹 후폭풍에 휩싸였다.
여야는 13일 박 시장을 고소했던 성추행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으나 미래통합당 등 야당이 해당 사건에 대한 철저하고 신속한 조사를 촉구하고 나서 파장이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성추행 피해 여성 등에게 잇따라 사과하며 수습에 나섰다.
김해영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피해 고소인에 대한 비난이나 2차 가해가 절대 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며 “수도인 서울이 전혀 예상치 못하게 권한대행 체제로 돌입하게 됐다. 서울시민과 국민 여러분께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이는 박 시장의 죽음 이후 당 지도부에서 나온 첫 사과 발언이다.
이어 이해찬 대표도 오후 박 시장의 성추행 피소 사실에 대해 “이런 상황에 이른 것에 대해 사과한다”고 밝혔다고 강훈식 수석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강 수석대변인은 이 대표가 당 고위전략회의에 참석, “피해 호소 여성의 아픔에 위로를 표한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또한 “예기치 못한 일로 시정에 공백이 생긴 점에 책임을 통감한다”면서 “앞으로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통합당은 박 시장의 성추행 의혹에 대한 진실을 밝힐 것을 촉구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우려스러운 점은 피해자에 관해서 2차 가해의 움직임이 있다는 점”이라며 “이점은 결코 있어선 안 될 것이고 힘없는 피해자의 고뇌, 아픔을 국민이 함께 보듬어주고 지켜줘야 할 것이다”고 밝혔다.
김은혜 대변인(성남 분당갑)은 논평을 내고 피해자 측의 기자회견과 관련, “사실이라면 민주당이 그간 가장 신랄하게 비판해왔던 ‘위력에 의한 성추행’ 의혹이다”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특히 “진실을 밝혀 다시 쏟아질지 모를 2차 가해를 막아 달라”고 민주당에 당부하며 “그것이야말로 여성 인권을 위해 싸워왔던 고인을 진정으로 추모하는 길임을 깨달아 달라”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피해자 측은 경찰에 고소사실에 대해 보안을 요청했는데도 박 시장이 알게 돼 결국 증거인멸 기회가 주어졌다고 한다”면서 “경찰은 약자가 아닌 강자의 편에 섰는지, 유출 의혹의 실체를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류호정·장혜영 의원이 박원순 서울시장의 조문을 거부한 것에 대해 당원들의 항의성 탈당이 이어져 곤혹을 치렀던 정의당은 이날 철저한 진상조사와 재발 방지책 마련을 촉구하는 한편 탈당 거부 운동이 일어나면서 반전의 모습을 보였다.
조혜민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서울시장에 의한 위력 성추행 사건 피해자 측의 기자회견이 있었다”면서 “서울시는 조사단을 구성해 사건에 대한 진상조사를 실시하고 촘촘한 방지 대책을 마련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페이스북 등에는 당원들이 ‘#탈당하지_않겠습니다’ 등의 해시태그를 단 글을 공유하며 탈당 거부 운동도 일어나고 있다.
김재민·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