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속 윤상현 의원(인천 동·미추홀을)은 19일 “포스트홍콩, 국제금융허브 유치에 정부가 나서라”고 강력 촉구했다.
윤 의원은 “아시아 주요 경쟁국가들이 홍콩을 대체할 ‘금융허브 조성’을 위해 치열한 유치전을 벌이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노무현 정부 당시인 2003년 동북아 금융허브 로드맵을 수립하고 최초로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지정하고도 미온적 정책으로 정체돼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추후 홍콩을 대체할 아시아 ‘금융허브’ 조성은 포스트코로나 경제위기 극복과 지속적인 국가경제성장을 위한 절호의 기회”라며 “노무현 정부가 추진했던 동북아 금융허브 실현을 위해 인천 송도·영종·청라 경제자유구역을 금융중심지로 지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금융허브’는 국가경쟁력 강화 전략 차원에서 ‘선택과 집중’의 대상이지, 지역균형발전이나 지역간 나눠먹기식 개발사업이 아닌 만큼 현재 추진중인 정부의 금융중심지 조성 구상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요구했다.
아울러 “인천 등 경제자유구역의 경쟁력 강화 및 외국인 투자 활성화를 위해 외국인 투자기업에 대한 법인세 및 소득세 등 세제감면 등 인센티브의 전면 부활과 외국 금융기관 설립 운영, 자금 유·출입 및 외환관리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하라”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정부 주도로 금융기관과 지자체 전문가들이 참여할 ‘아시아 금융허브 조성 테스크포스(TF)’를 구축, 홍콩을 대체할 ‘아시아 금융허브’ 및 다국적 기업 유치에 적극 나서라”고 거듭 촉구했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