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전선 지중화 사업, 원도심 중 거점지역 추진 시급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연계해야" 지적

인천시가 민선7기 후반기 핵심과제로 추진할 원도심 전선 지중화와 공중케이블 정리 사업이 거점지역에 대한 우선 추진이 시급하다. 또 사업의 속도를 내려면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연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1일 시와 인천연구원 등에 따르면 현재 인천의 공중케이블 지중화율은 39.33%다. 지역별로는 연수구가 90.93%로 가장 높고, 강화군과 옹진군이 각각 1.73%, 5.12%로 저조하다. 시는 2024년까지 48.31%까지 지중화를 이뤄내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두고 연구원은 시가 우선 원도심 중 지역거점 주변을 우선 추진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주민 이용률이 높고 유동인구가 많으며 주변 도시기능과 연계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곳을 우선 사업지역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공중케이블 정리 사업은 노후 주택과 노후 공장 등 재난이 발생하면 인명피해 가능성이 높은 곳을 사업 대상지로 분류했다.

또 시가 전선 지중화사업과 공중케이블 정리사업 대상지역을 구분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들 사업의 성격과 효과가 명확히 갈리기 때문이다. 전선 지중화사업은 도시미관과 환경개선, 시민안전 증진에 효과가 있지만 사업 유지 관리 비용이 커 유지관리의 편의성이 어렵고 사업 속도도 느리다. 반면 공중케이블 정리 사업은 도시미관과 환경개선은 어렵고 시민안전 증진 효과도 보통 수준이지만 사업·유지관리 비용이 적고 유지관리도 쉽다. 또 사업 속도도 빠른 장점이 있다.

이 밖에 도시재생 뉴딜사업과의 연계도 시급하다. 지중화 사업은 사업비용이 많이 들어가기에 도시재생 뉴딜을 통해 국비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최근 도시재생 뉴딜 선정 과정에서 지중화사업을 포스트 코로나 대비 그린뉴딜 사업으로 적극 반영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민혁기 인천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 연구위원은 “정비사업 관리체계를 구축해 공중케이블 정비 사업을 데이터베이스(DB)로 지속 관리해야 한다”며 “중복사업·예산낭비를 방지하는 등 더욱 효과적인 사업 추진체계를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