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채·공사채 TF 운영
인천시를 비롯해 인천도시공사와 인천교통공사 등이 오는 2024년까지 모두 8조2천억원 상당의 지방채·공사채를 발행한다.
22일 시에 따르면 2020년 하반기에 차환채 1천600억원을 비롯해 재난관리기금 조성을 위한 230억원, 스마트자가통신망구축 사업 등을 위해 176억원 등 2천6억원 규모의 지방채를 발행한다. 앞서 상반기엔 장기미집행공원 조성을 위해 675억원의 지방채를 낸 상태다.
시는 오는 2021년에 1천500억원, 2022년 1천억원, 2023년 1천억원, 2024년 1천326억원 등 5년 동안 모두 7천507억원의 빚을 낼 예정이다. 다만 시는 2020년 4천252억원, 2021년 3천195억원, 2022년 2천699억원, 2023년 2천804억원, 2024년 2천894억원 등 해마다 상환한다. 이를 통해 2024년엔 총 부채를 1조6천471억원으로 줄이며 채무비율을 13.7%까지 낮출 계획이다.
특히 도시공사는 2020년 하반기에 4천600억원의 공사채를 발행한다. 앞서 상반기엔 9천723억원을 발행했다. 도시공사는 2021년 1조6천억원, 2022년 1조1천100억원, 2023년 2조2천400억원, 2024년 1조4천200억원 등 5년 간 총 7조3천423억원의 빚을 낸다. 종전 공사채의 이자를 낮추기 위한 차환채를 비롯해 검암역세권 개발사업과 3기 신도시인 계양테크노밸리(계양TV) 개발사업 등을 위해서다. 시는 도시공사의 부채를 조금씩 줄여 2023년엔 5조2천82억원(부채비율 188%)까지 낮출 계획이다.
또 교통공사는 2020년 279억원, 2021년 256억원, 2022년 280억원, 2023년 224억원, 2024년 273억원 등 5년 간 모두 1천312억원의 공사채를 발행한다. 인천도시철도 1호선의 노후차량 및 시설물 교체 사업비다. 교통공사는 이와 별도로 2020년 하반기에 최대 400억원의 공사채 발행을 계획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여객감소에 따른 운영비가 부족해서다.
시는 이 같은 대규모 지방채·공사채를 발행하면서 금리 등 최대한 좋은 조건을 맞추려 재정기획관을 단장으로 한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한다. 인천연구원의 공공투자관리센터와 도시공사·교통공사 등이 함께 참여해 주기적으로 금리 동향 등을 살피며 지방채·공사채 발행 시기를 조율한다.
시 관계자는 “포스트코로나에 대한 대응이나 복지수요 등으로 일부 지방채·공사채 발행은 불가피하다”며 “채권 발행 절차 등을 개선하고 TF를 중심으로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겠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