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구성원의 투표 결과를 뒤집고 3위 후보를 최종 총장 후보로 낙점한 국립 인천대학교 이사회가 총장 공백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자초했다.
청와대가 이사회의 결정에 제동을 걸면서 총장 공백 및 재선출에 따른 학사 운영 파행에 대한 이사회의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다.
23일 국립 인천대 등에 따르면 이사회가 추천한 이찬근 무역학부 교수가 청와대 인사검증 과정에서 탈락했다.
청와대는 이 교수에 대한 인사검증에서 국립대 총장으로의 업무 수행이 부적절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의 결정으로 인천대는 총장 공백은 물론 재선거에 따른 행정력 낭비도 감당해야 한다. 조동성 현 총장의 임기는 오는 27일까지로 단 4일 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다.
인천대는 우선 양운근 교학부총장의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다만, 차기 총장 선출 방식은 아직 정하지 못하고 있다.
인천대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2가지다. 이미 인사검증 절차를 모두 마치고 총장추천위원회를 거쳐 선정한 나머지 2명의 후보 중 1명을 추천하는 방식과 비상대책위원회를 통한 재선거다.
인천대 관계자는 “총장 재선출은 교육부와의 협의를 통해 일정을 정해야 한다”며 “아직 교육부가 공식적인 답을 주지 않은 상황”이라고 했다.
한편, 이사회가 추천한 후보가 청와대의 인사검증을 통과하지 못하면서 이사회에 대한 책임론은 커지고 있다. 앞서 이사회는 총장추천위원회가 학교구성원의 투표인 정책평가를 거쳐 정한 순위를 뒤집고 3위 후보를 최종 후보로 결정했다. 이사회에 후보 선정 이유를 묻는 구성원의 요구와 집회가 이어졌지만, 이사회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이 과정에서 이사회의 결정에 반발한 정의당 배진교 국회의원(인천대 이사)이 이사직을 사퇴하기도 했다.
이 교수의 탈락 소식이 전해지자 인천평화복지연대 등 시민단체와 인천대 교수 모임 등 구성원들은 최용규 이사장을 비롯한 인천대 이사회 전원의 사퇴를 촉구했다.
평복 관계자는 “재선거에 대해 이사장을 비롯한 이사회가 책임져야 한다”며 “재발 방지를 위해 총장 직선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했다.
김경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