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인사청문회, 각종 의혹 놓고 치열한 난타전

국회 정보위원회(위원장 전해철)가 27일 실시한 박지원 국정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야당 의원들과 박 후보자가 각종 의혹을 놓고 치열한 난타전을 벌였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박 후보자의 국정원 개혁과 향후 역할, 남북관계 개선 방안 등의 질의에 집중한 반면 미래통합당 의원들은 후보자의 대북송금 개입 의혹과 학력 위조 의혹, 불법정치자금 의혹을 집요하게 추궁, 공세와 반박이 이어졌다.

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 박 후보자가 지난 2000년 6·15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킨 4ㆍ8 남북 간 합의서에 총 30억 달러를 북한에 별도로 제공하는 문건에 서명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주 원내대표가 제시한 합의서는 ‘남북 합의서’와 ‘경제협력에 관한 합의서’ 2가지로, 박 후보자는 ‘남북 합의서’에 서명한 것은 맞지만 ‘경제협력에 관한 합의서’의 서명은 “조작된 것”이라고 강력 반발했다. ‘경제협력에 관한 합의서’ 문건에는 ‘2000년 6월부터 3년간 25억 달러의 투자 및 경제협력 차관을 (북한의) 사회간접자본 부문에 제공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주 원내대표는 “5억 달러도 정부가 준 것이 아니고 현대가 경협대가로 준 것이라고 하는데, 여기에 국민이 모르는 25억 달러까지 주기로 했다면 엄청난 일이다”면서 “사실로 드러나면 후보를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박 후보자는 “(사실로 드러나면) 제 인생과 모든 것을 걸고 책임지겠다. 어떠한 책임도 감수하겠다”면서 “조작이다”며 강력 부인했다.

박 후보자는 통합당 하태경 의원이 서명 여부를 재차 묻자 “저를, 김대중 정부를 모함하기 위해 제 서명을 위조했다”면서 “위조된 서류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청문회에서는 박 후보자의 학력 위조 의혹도 쟁점이 됐다.

통합당 의원들은 박 후보자의 학적부 원본에는 조선대 5학기를 마치고 1965년 단국대에 편입한 것으로 돼 있는데, 2000년에 출신 학교를 조선대가 아닌 광주교대로 바꿨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관련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이에 박 후보자는 “저는 조선대에 다니지 않았고, 광주교대 2년을 다니고 단국대에 편입했다”면서 “하등의 하자가 없다”며 자료 제출 거부 의사를 굽히지 않았다.

하 의원은 특히 “2000년 권력의 실세였을 때 어두운 과거를 은폐하기 위해 단국대를 겁박해서 학력을 위조했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박 후보자는 “아무리 제가 청문을 받는다고 해도 사실이 아닌 것을, 위조, 겁박이런 말을 한다”고 강력 반발했다.

통합당은 박 후보자가 친구 사이인 모 업체 대표 이모씨로부터 지난 2015년 현금 5천만원을 빌린 뒤 5년간 원금과 이자를 갚지 않고 있는 것과 관련, 불법 정치자금 의혹도 제기했다.

조태용 의원은 “정상적인 사인의 채무관계인지 볼 필요가 있다”면서 “정치자금법의 근본적 입법취지를 훼손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박 후보자는 “이씨와는 막역한 친구 사이로 전당대회도 있고 좀 쓸 일이 있었다”면서 “차용증을 쓰고 5년 전부터 재산 신고를 성실히 했다”고 반박했다. 박 후보자는 “갚든, 안 갚든 저와 제 친구 사이의 문제”라며 당당함을 보였다.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