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강득구 의원, K-MOOC 교육공공재로서 적극적 역할 주문

▲ 강득구 의원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안양 만안)이 29일 포스트 코로나 시대 원격교육 및 K-MOOC(케이무크) 수요가 증가한 만큼 양질의 우수 강좌를 개발, ‘교육 공공재’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득구 의원은 이날 교육위 전체회의에서 “코로나19로 원격교육 수요가 증가하면서 K-MOOC 수요도 함께 크게 증가하고 있다. 위기를 기회로 삼아 K-MOOC를 국민에게 더 적극적으로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이같이 말했다.

강 의원이 교육부의 K-MOOC 이용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3~4월 K-MOOC 수강신청 건은 17만8천건, 회원가입자 수는 8만5천명으로 지난해(10만건, 3만8천명)보다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특히 강 의원은 K-MOOC 이용자 중 교육부가 지난 2월 학점은행제 과정 운영, 강좌 수 확대 등의 내용을 담은 ‘2020 K-MOOC 기본계획’을 발표했지만 고령 이용자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포함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지난해 말 기준 K-MOOC 이용자 중 20대 이하는 63.6%(31만9천177명)을 차지한 데 비해 60대 이상은 3.1%(1만5천492명)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평생교육 실현이라는 큰 목적과 방향성 하에 전 세대가 K-MOOC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아울러 중앙과 지방의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고 교육 소외계층에 대한 배려와 각 수요에 대한 맞춤 전략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에 윤여각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은 “전 세대 평생교육 실현에 공감하며 교육 소외계층을 더욱 살피고 중앙과 지방의 네트워크를 잘 구축해나가겠다”고 답했다.

한편 강 의원은 전날 열린 교육위 전체회의에선 시민과 교육주체, 교육기관이 모여 기후위기에 대해 논의하는 ‘기후위기 교육위원회’(가칭)를 국무총리실 산하에 신설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중국에서 한 달째 계속되고 있는 홍수를 비롯해 전 세계에 기후위기의 징후가 지속되고 있다”며 “기후위기 교육위원회를 신설하고 기후위기 환경교육을 모든 교육단위에서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