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 은퇴자금 노린 고수익 보장 사기… 금감원, 186개사 수사 의뢰

중장년층 피해 커…제도권 금융사 확인필요

최신 금융기법에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층을 노린 유사수신 혐의업체들이 금융당국에 적발됐다. 이들은 원금 보장과 고수익 투자를 미끼로 은퇴자금과 노후자금을 노렸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불법사금융피해신고센터에 접수된 유사수신 신고·상담 건수는 총 482건이며 이 가운데 범죄혐의가 드러난 186개사에 대해서 검찰과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고 4일 밝혔다. 유사수신행위자는 5년 이하의 징역형 또는 벌금형 등 처벌 대상이 된다.

협의업체는 선물·옵션, 비상장주식 등 합법적인 금융상품을 파는 것으로 피해자들을 속였다. 또, 부동산·제조·판매 사업한다며 고수익 보장을 미끼로 내걸었다. 이 가운데 가상통화를 접목한 업체도 많았다.

유사수신 피해자 평균 연령은 만 56세, 평균 피해 금액은 약 5천783만원으로 나타났다. 노후자금을 투자한 중장년층 피해자가 많아 피해금액이 비교적 컸다. 이들이 젊은 층에 비해 최신 금융기법에 익숙하지 않다는 점을 협의업체가 교묘하게 파고들었다.

유사수신 혐의업체들은 전형적인 폰지 사기 수법을 썼다. 사업 초기에는 신규 가입자의 돈으로 기존 가입자에게 원금과 수익금을 줬고, 다른 회원을 계속 모집하게 하는 피라미드 다단계 방식을 이용했다. 환불 요구가 늘고 추가 모집이 어려워지면 수익금 지급을 미루고 잠적·도주·폐업해버렸다.

또, 유명 연예인이나 정관계 유력인사와 친분을 과시하면서 투자자를 모았다. 주요 포털사이트에서 대표이사를 인물검색 대상으로 등록해 마치 유명인인 것처럼 피해자를 속이는 수법도 썼다.

금감원 관계자는 “누군가 원금과 고수익을 보장해 준다고 하면 일단 투자사기를 의심해야 한다”라면서 “반드시 해당 업체가 제도권 금융회사인지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에서 먼저 확인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