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 대응 가능
최근 건축현장에서의 안전 사고가 빈번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인천 남동구의 건축현장 관리법이 눈길을 끌고 있다.
구는 태풍·지진 등의 자연재해부터 안전사고까지 한번에 관리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소통방을 운영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인천에서 이 같은 방식으로 재난 및 안전사고에 대처하는 기초자치단체는 남동구가 유일하다.
구는 이미 지난해 건축현장에서의 재난 발생시 초기 대응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해 건축관계자와의 신속한 상황 전파 방식을 고민했다. 그러던 중 구 건축과 건축허가팀과 감리자 및 시공자인 건축관계자가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채팅방을 고안해냈다. 처음에는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밴드 플랫폼을 활용하려 했지만, 상황전파나 공유가 좀 더 용이한 플랫폼을 찾던 중 카카오톡으로 정했다.
이후 2019년 1월 1일 이후 착공하는 건축현장 중 건축법 시행령상 상주감리를 받는 현장인 바닥면적 합계 5천㎡이상, 지하층을 포함해 5개층 이상으로 바닥면적 3천㎡ 이상인 현장은 의무적으로 가입케했다.
건축공사 현장에서 재난이나 안전사고가 생기면 건축관계자가 실시간으로 SNS에 내용을 공개해 허가담당자가 부서장에게 개별적으로 통보하는 방식이다. 또 허가권자는 태풍이나 지진 등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자연재해를 실시간으로 SNS에 공유해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현장에서 생긴 문제점을 허가권자인 구가 빠르게 파악해 이후 안전관리 방식이나 지시사항 등을 전달할 수 있다. 또 실시간으로 SNS을 통해 공유하는 만큼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신속한 정보교류도 가능해진다.
현재 이 대화방에는 현장소장과 감리사 등 25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건축과장을 포함해 구청 직원 8명도 참여하고 있다.
지난 주말 집중호우로 건축물 파손이나 토사 유출 등의 문제가 생겼을 때도 이 대화방에서 즉각적으로 사진이 공유, 빠른 조치가 가능했다.
구 관계자는 “과거 전화로 전파했을 때에 비해 사진을 이용해 정확한 상태를 확인,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며 “앞으로도 재난·안전사고 상황에서 구민의 안전을 위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금같은 유기적 협조 체제를 유지하겠다”고 했다.
김경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