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올해 상반기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 추진결과 1만1천237t의 온실가스를 배출해 전년 상반기(1만1천639t) 보다 3.4%(402t)이 감소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외부감축사업 인증실적 및 탄소포인트제 감축실적을 포함한 2020년 온실가스 감축률을 산정한 결과다.
시는 태양광 개선사업, 시설물 자동제어 프로그램 개선공사 등을 통한 에너지 절감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이 같은 분위기로 온실가스가 줄어들면 올해 하반기는 지난해 감축률 51.1% 보다 5.2%가 늘어난 56.3%의 감축률을 보일 것으로 기대했다.
이와 함께 시는 올해 감축목표인 3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및 ‘공공부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라 2011년 시작했다. 또 공공부문 대상기관이 소유·임차 사용하는 건물과 차량의 에너지(전기·도시가스·유류 등) 사용으로 배출하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목표관리 받는 제도다.
시는 본청, 직속기관 및 사업소 등 총 43개소를 대상으로 매년 환경부에서 설정한 감축목표 기준(2007~2009년 평균 배출량 대비 30% 감축)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최근 환경부가 발표한 2019년도 공공기관 온실가스 목표관리 결과 51.1%(지난해)의 감축률을 달성했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해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온실가스 목표관리 1위를 기록했다.
특히 시는 송도국제도시 경제자유구역청(G타워)에 시설물 자동제어 프로그램 및 중앙제어실 설비시스템 개선·운영을 통해 18∼20%의 에너지 절감효과 등을 높이고 있다. 여기에 오는 2025년까지 주거용 건축물 66만t, 비주거용 건축물 58만t의 건축물 온실가스 의무할당량보다 2.3~2.8% 많은 온실가스를 줄이기로 했다.
송현애 환경기후정책과장은 “인천시는 GCF 사무국 등 15개 국제기구가 입주해 있는 기후변화 대응 선도도시인 만큼 공공기관 건물에 시설물 자동제어 프로그램 개선공사를 확대하고 있다”며 “2050년 탄소중립(Net-Zero)을 목표로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승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