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한 내 자신 부끄러워”…뿔난 후원자들, 3번째 반환 소송

광주 나눔의집·정의연 등 상대

후원금 유용 혐의를 받는 정의기억연대(정의연), 광주 나눔의집 등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시설을 상대로 후원자들이 후원금 반환 소송을 제기했다. 정의연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은 이번이 처음이다.

‘위안부 할머니 기부금 및 후원금 반환소송 대책모임’은 12일 정의연과 이 단체의 전신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 나눔의집을 상대로 후원금 반환을 청구하는 소장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출했다. 이번 소송은 지난 6월 나눔의집 등을 상대로 한 두 차례 후원금 반환 소송에 이은 3차 소송이다.

원고 측 소송대리인 김기윤 변호사는 “후원행위 취소에 따른 부당이득 반환 청구와 피고의 불법 행위에 대한 민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것”이라고 소송 취지를 설명했다.

대책모임에 따르면 3차 소송에 참여한 후원자는 5명이다. 이 중 2명은 정의연ㆍ정대협과 윤 의원에 대해, 나머지 3명은 나눔의집에 대해 각각 소송을 제기했다. 5명 중 4명이 여성으로 87년생 2명과 90년대생 2명이다. 총 청구 금액은 485만원이다.

이에 따라 1~3차까지 총 60명의 후원자가 9천200여만원의 후원금 반환을 청구한 것으로 집계됐다. 앞서 1차 소송에서는 후원자 23명이 나눔의집에 총 5천74만2천100원을, 2차 소송에서는 32명이 나눔의집과 정대협, 윤 의원에게 총 3천558만원을 청구했다.

소송에 참여한 후원자들은 대부분 20~30대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최대 반환액을 청구한 것으로 알려진 대학교 4학년 A씨는 성추행 합의금 900만원을 나눔의집에 있는 피해자들을 위해 지난 4월 기부했다. A씨는 “이 돈은 교수로부터 성범죄를 당한 이후 학교를 가지 못해 발생한 등록금과 정신과 치료비용을 합산해 책정된 것”이라며 “약 2천만원의 학자금 대출이 있는 데도 기부를 택한 것은 나보다 힘든 일을 겪은 할머니들의 행복한 노후를 위해서였다”고 밝혔다. 이어 A씨는 “그러나 이러한 기부 목적이 전혀 달성되지 않았다. 반환된다면 다시 할머니들에게 직접 드리고 싶다”고 덧붙였다.

이날 나눔의집을 상대로 소송을 낸 고등학교 교사 후원자 B씨는 “역사 교사로서 할머니들의 복지 향상과 위안부 역사의 계승을 응원한다는 뜻으로 지난 2017년 8월에 100만원을 일시 후원했다”며 “그러나 기관의 운영 실태는 사기에 가까웠고, 깊은 배신감을 느꼈다. 기부를 본보기로 삼을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알린 자신이 부끄러워졌다”고 소송 참여 이유를 설명했다.

한편 김 변호사는 1ㆍ2차 소송에서 제출한 소장은 6월26일과 7월8일 각각 단체에서 송달받았으나 답변을 받지 못한 상태라고 밝혔다.

김해령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