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전역을 강타한 집중호우로 도내 300여 세대의 이재민과 3천여 명의 일시대피자가 발생한 가운데 대한적십자사 경기도지사가 긴급재난구호활동에 나섰다.
12일 경기적십자(회장 윤신일)에 따르면 경기적십자는 지난 6월부터 긴급재난구호대책본부를 운영해 풍수해를 대비해 왔으며 이달 2일 비상운영체제로 전환했다.
이날 기준 봉사원과 직원 등 724명의 구호요원이 수해 복구를 지원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재난구호특수차량을 활용한 급식과 세탁, 심리회복지원서비스, 긴급구호품 491개와 쉘터(사생활보호 텐트) 65동이 지원됐다.
특히 용인시와 안성시에서 실시한 세탁봉사는 기초생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활동이라고 이재민들이 평했다.
홍두화 경기적십자 사무처장 겸 재난구호대책본부장은 “적십자사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한 재난관리책임기관으로서 경기도 및 시ㆍ군 재난안전대책본부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다”며 “이번 수해 구호를 통해 정부의 인도주의 사업 보조자로서 도민께서 적십자에 맡겨주신 소임을 다할 것이며, 앞으로도 피해를 입으신 분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복귀하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가을 태풍에 대해서도 준비를 잘 하겠다”고 말했다.
윤신일 경기적십자 회장은 “1천370만 명이 넘는 인구와 넓은 땅을 가진 경기도에서 2만여 명의 적십자봉사원과 31개 시ㆍ군을 관할하는 10개 적십자봉사관은 재난 발생 시 지역사회의 방파제이자 소금과 같은 소중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코로나19와 같은 사회적 재난은 물론이고, 풍수해 등 전통적인 자연재난에도 신속하고 철저하게 대응해 적십자 본연의 임무인 ‘인간의 건강과 생명 보호’를 수행함에 있어 차질이 없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연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