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은행 예금 등 수신은 큰 폭 감소하고, 여신은 전세대출과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7월만 놓고 보면 은행권의 가계 대출 증가액은 2004년 통계 집계 이후 최대 규모를 보였다.
12일 한국은행은 7월 금융시장 동향을 발표하고 은행 수신이 6월보다 17조3천억원 감소했다고 밝혔다. 수시입출식예금은 부가가치세 납부 때문에 기업자금이 인출되면서 전달 대비 19조원 줄었다. 정기예금은 예금금리 하락, 지방정부 자금 인출 영향으로 7조원 감소했다.
자산운용사 수신은 은행과 달랐다. 6월보다 16조6천억원 늘었다. MMF는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로 인출됐던 은행 자금의 재유입으로 증가했다. 채권형펀드는 증가로 전환했고, 주식형펀드는 감소 폭이 축소했다.
이날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7월 가계대출 동향을 보면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9조원 증가했다. 6월 대비 3천억원, 지난해 7월 대비 3조3천억원 늘어난 수치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936조5천억원으로 6월보다 7조6천억원 증가했다. 7월만 놓고 보면 증가액은 2004년 통계 집계 이후 최대 규모다.
전 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은 4조1천억원 증가했다. 6월보다 9천억원 줄었지만, 작년 7월과 비교하면 1조9천억원 늘었다. 기타대출은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6월보다 1조2천억원, 작년 7월보다 1조4천억원 늘어난 4조9천억원을 기록했다. 이 중 은행권 대출은 3조7천억원이다. 제2금융권 역시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1조3천억원 증가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은행권은 주택담보대출의 증가폭은 전월대비 둔화했지만, 신용대출 증가폭은 생활자금, 주식청약 수요 등으로 확대했다”라면서 “전세대출과 신용대출 추이를 자세하게 지켜보면서, 가계부채를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