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연, 철도R&D 전담조직 구성

한국판 뉴딜 대응

한국철도기술연구원(철도연)이 철도 R&D 전담조직(TFT)을 구성한다고 13일 밝혔다. 정부의 한국판 뉴딜종합계획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철도연은 이에 따라 철도교통 물류분야 침체 극복 및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연구 확대, 한국판 뉴딜정책과 연계하는 철도연 역할과 책임(R&R) 정립 등을 주요 과제로 정해 추진한다.

이를 통해 한국판 뉴딜 이슈를 도출하고 코로나19 이후 가속화 될 디지털 경제 및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차량기계와 전기신호ㆍ궤도토목 등 철도시스템 모든 분야가 어우러진 융복합 협업을 통해 철도연구개발 컨트롤 타워 역할도 수행한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확대 등 철도를 포함한 대중교통에 가중되는 위기도 극복키로 했다. 이와 함께 새로운 경제ㆍ사회구조 변화를 주도할 철도 교통물류기술 전환도 이끌 계획이다.

또한 세계 최초 5G기반 열차제어 인프라를 오송 철도종합시험선로에 구축, 열차 자율주행기술 개발 등 철도 스마트 혁신 연구를 지속한다. 그린 뉴딜과 연계한 철도연구를 통해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감축과 함께 미래 글로벌시장 선점을 위한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기술 개발도 확대한다.

시속 400㎞ 고속철도 운행기술과 시속 1천㎞ 이상으로 주행하는 하이퍼튜브, 친환경 수소열차, 철도 무선급전, 무가선트램 등 원천기술 개발과 친환경 교통시스템 실용화도 가속화한다. .

나희승 철도연 원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정부의 한국판 뉴딜에 대응, 미래 철도분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뉴딜연계 원천기술 개발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의왕=임진흥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