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장마철 해양쓰레기 책임소재 찾는다

재원부담 등 요구키로

인천시가 역대 최장인 51일간의 장마로 강화해역 등 인천연안을 뒤덮은 해양쓰레기의 책임소재를 찾아 방지 대책 및 재원 부담을 요구하기로 했다. 또 이번 장마로 피해를 본 지역에 대한 지원 방안과 남은 장맛비에 대한 대책도 마련한다.

13일 시에 따르면 박남춘 시장은 이날 오전 열린 정책현안회의에서 해양쓰레기 문제를 총체적으로 정리하고 책임소재를 분석하라고 지시했다. 이번 지시는 해양쓰레기에 대해서도 원인자 부담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는 박 시장의 의중을 담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 11년간 해양쓰레기 8만7천689t을 처리하면서 892억7천만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특히 인천연안에는 현재 역대 최장기간을 갱신한 장마와 한강의 상류댐 방류로 해양쓰레기가 계속해서 증가 중이다. 이들 해양쓰레기는 선박의 안전 운행과 해안가 주민의 생활을 위협하는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당장 한강하구와 인접한 강화해역은 장마철 강물을 따라 떠내려온 각종 쓰레기로 심각한 문제를 겪고 있다. 이는 장마로 유속이 빨라지면서 육지쓰레기까지 모두 강화로 떠밀려 왔기 때문이다. 최근까지 강화해역(염화수로)에서 건진 해양쓰레기만 하더라도 지난해 수거량 43t을 훌쩍 뛰어넘은 상태다.

박 시장은 “매년 예산과 공공근로 인력을 대거 투입해 (해양쓰레기를)수거하지만, 경계가 명확하지 않고 넓은 바다의 특성상 육지쓰레기보다 관리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고 했다. 이어 “환경정의에 걸맞게 (해양쓰레기의)원인자에게 해양오염 방지 대책과 재원 부담 등을 강력히 요구하겠다”고 했다.

이와 함께 박 시장은 이번 장마로 피해를 본 지역의 지원 방안 검토와 15~16일 이어질 장맛비에 대한 대비도 정책현안회의에서 지시했다. 이에 따라 시는 긴급 구호물자뿐 아니라 공직자·자원봉사자 파견 등 피해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지원책을 마련한다. 또 집중호우에 취약한 구역들에 대한 점검 등도 이어나갈 계획이다.

한편, 박 시장은 최근 남촌농산물도매시장이 문을 연 이후 농산물 매출이 증가했다는 보고와 관련해 농산물도매시장 이전이 매출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앞으로 보완해야 할 부분이 있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도록 관계부서에 지시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