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코로나19를 극복하고자 31개 시ㆍ군과 함께 전국 최대 규모의 ‘경기희망일자리 사업’을 추진한다.
도는 3천2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7만8천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17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희망일자리 사업’은 도내 경제적 취약계층에게 공공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생계지원과 지역경제 활력을 높이고자 경기도가 행정안전부와 함께 추진하는 사업이다.
이번 경기희망일자리 사업에는 국비 2천921억원, 지방비 351억원 등 총 3천273억7천900만원이 투입된다. 이는 전국 17개 광역지자체에서 추진 중인 희망일자리 사업 중 최대 규모다.
사업은 생계지원이 필요한 취약계층 도민을 선발, 경기도와 시ㆍ군이 추진하는 생활방역, 재해예방, 특성화사업 등 총 10개 유형의 ‘공공 일자리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인건비 등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구체적으로 ‘경기청년 희망일자리 지원’, ‘불공정거래 도민 감시단’, ‘찾아가는 무형문화재 선생님 활동’, ‘전통시장 온라인 주문 배송 요원’, ‘코로나 19 사이버 방역단’ 등이 추진된다.
신청자격은 만 18세 이상 도민 중 저소득층 등 취업 취약계층이거나 코로나19로 인한 실직자와 휴·폐업자 등이다. 사업에 참여하면 주당 15~30시간, 일일 3~6시간가량 근무하게 되며, 일부 사업의 경우 최대 8시간까지 근무할 수 있다. 급여는 경기도 사업의 경우 생활임금을, 시ㆍ군 사업은 최저임금을 적용해 지급하며 4대 보험 가입도 지원된다.
도는 이번 사업 시행으로 총 7만8천807명에게 공공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신청방법 등 세부사항은 경기도청 및 시ㆍ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호준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