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계약 종료 앞두고 …교통공사에 제안입찰 참여 요구
-민간업체와 경쟁 불가피, 공공성 상실 및 이용료 상승 등 우려
롯데쇼핑㈜ 소유인 인천종합버스터미널(인천터미널)이 민영화 기로에 놓여있다. 지역 안팎에선 인천터미널이 민영화로 공공적 기능을 잃고 수익 논리에 밀려 각종 이용료 상승 및 서비스의 질 하락 등을 우려하고 있다.
18일 롯데쇼핑㈜과 인천교통공사 등에 따르면 교통공사는 지난 1998년부터 관교동 신세계백화점 인천점 부지에 고속·시외버스가 오가는 인천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다. 이후 롯데가 백화점을 인수했지만 2013년부터 임대계약을 통해 공영 운영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최근 롯데 측은 2020년 말 임대계약 종료를 앞두고 돌연 교통공사측에 제안입찰에 참여토록 요구했다. 롯데가 경기도 한 운송업체의 인천 터미널 운영권 제안입찰 제안을 받아들인데 따른 것이다. 이 업체는 경기도의 한 터미널은 운영 중인 대형 버스업체이다.
교통공사도 롯데에 제안서를 냈지만, 이 업체와의 경쟁에서 밀릴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공기업이다 보니 이번 제안입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임대료를 높게 제시하는 등 공격적으로 나서기 어려운 탓이다. 교통공사의 터미널 운영 인력 모두가 정규직이어서 인건비 비중이 커 높은 임대료를 제시하지 못하는 구조다. 교통공사 관계자는 “롯데의 요청에 따라 공기업에서 제시할 수 있는 범위에서 임대료를 산정해 제출한 상태”라고 했다.
이를 두고 지역 안팎에선 롯데가 인천터미널을 돈벌이 수단으로 보는 것에 대한 비판과 함께, 인천터미널의 민영화로 공공적 기능을 잃을 것을 우려하고 있다.
업계는 현재 인천터미널의 임대료는 연간 16억원선이지만, 이번 입찰을 통해 최대 3배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입찰을 통해 오른 임대료만큼 터미널 이용객 주차장 사용 요금은 물론, 고속·시외버스의 주박차 이용료 등 각종 시설 이용료 등이 줄줄이 오를 것이 뻔하다. 또 터미널 운영 인력도 상당수가 용역 등으로 대체가 이뤄져 일자리의 질도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당연히 시민의 부담은 늘어나고, 서비스의 질 하락 등도 불가피하다.
또 민영화로 인해 앞으로 코로나19 등에 따른 체계적인 방역체계 구축이나 명절때 터미널 주차장 무료개방 등 인천시 등과의 협력·협조체계도 어려워진다.
서울의 한 민영버스터미널은 수년 전 각종 시설 사용료를 올린데다, 직원 쉼터 등 공용공간을 없애고 상업시설로 임대해 시민들이 큰 불편을 줘 논란이 일기도 했다.
박정숙 시의원(미래통합당·비례)은 “당초 인천터미널을 롯데 측에 매각한 것 자체가 이 같은 문제를 낳았고, 롯데는 이를 돈벌이에 쓰고 있다”며 “만약 민영화가 현실화하면 업체의 수익 논리에 밀려 공공성은 사라질 것”이라고 했다. 이어 “여태껏 교통공사가 쌓아온 공적 운영 시스템은 물론 인천의 자긍심 역시 무너지는 셈”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롯데 관계자는 “일부 업체에서 인천터미널 운영에 대한 제안을 요청했고, 이를 무시할 권한이 없어 부득이 제안입찰을 했다”며 “제안 업체 및 교통공사 등으로부터 제안서를 넘겨받아 현재 내부 검토 중”이라고 했다.
이승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