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트램 설계 가이드라인 마련…인천시 추진 트램도 ‘탄력’

인천시의 트램(Tram) 도입 정책이 정부의 트램 활성화 정책과 맞물려 탄력을 받고 있다.

25일 국토부와 시에 따르면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지방자치단체가 트램 노선의 계획·설계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노면전차(트램) 시설 설계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전용선로를 주행하는 도시철도와 도로를 주행하는 간선급행버스체계(BRT)의 장점을 두루 갖춘 트램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대광위는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해 지난 2년간 철도기술연구원, 도로교통공단 등 전문기관과 협업하는 방식으로 내용을 구성했다. 이어 올해에는 경찰청, 지자체 및 전문기관 등과 협의·보완하는 등의 절차를 거쳐 가이드라인의 내용을 확정했다.

정부는 이번 가이드라인 마련과 마찬가지로 트램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트램은 친환경적인 장점과 함께 비용적 측면에서도 도시철도보다 경쟁력이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국토부 등은 트램의 운행 근거 등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도시철도법, 철도안전법, 도로교통법 등 관련 법률 개정도 마친 상태다.

이 같은 정부의 트램 활성화 정책과 맞물려 시가 추진 중인 트램 도입 정책도 본격화할 전망이다.

앞서 시는 지난 2018년 12월 ‘제1차 인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인천대공원~시민공원의 인천남부순환선(29.4㎞), 작전~국제업무지구의 IN-Tram(22.3㎞), 영종하늘도시~제2여객터미널의 영종내부순환선(14.8㎞), 인천글로벌캠퍼스~송도랜드마크시티의 송도내부순환선(7.4㎞) 등 4개의 트램 노선을 반영했다. 다만, 이들 트램 노선을 도입하려면 노선당 최대 1조7천억원대의 사업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의 적극적인 트램 활성화 정책과 이에 따른 국비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시 관계자는 “정부 차원에서 트램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차후 트램 노선 도입 과정에서 국비 확보 등에 이점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