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빠른 확산세에 자가격리자들이 배출하는 의료폐기물 양도 크게 증가하면서 이를 전담하는 일선 시ㆍ군 공무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환경부는 자가격리자들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쓰레기 수거를 일반 청소업체에 맡기지 못하는 문제 등으로 공무원들의 노고는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25일 환경부와 도내 시ㆍ군 등에 따르면 환경부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이에 대응하기 위해 ‘자가격리자 폐기물의 안전처리 방안’ 지침을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하달했다.
자가격리 기간 중 발생한 음식물 등 모든 쓰레기를 의료용 종량제 전용봉투에 투입해 소독 후 보관하고, 격리해제 조치 시 일괄 배출해야 한다는 게 골자다. 격리 기간 중 확진자로 분류되거나, 배출이 불가피한 경우 통보하면 보건소 전담팀이 나와 의료폐기물로 처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환경부는 현재 각 가정에 직접 방문해 쓰레기를 수거해야 하는 업무 특성상 이름ㆍ나이ㆍ집 주소 등 개인정보 유출을 막기위해 해당 업무를 공무원에 전담시키고 있다.
하지만 최근 교회발 N차 감염과 깜깜이 확진자 등 코로나19가 무서운 기세로 창궐하면서 급증한 자가격리자 만큼 이에 비례한 생활 폐기물이 발생해 일선 지자체 공무원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상당수 격리자들로부터 ‘중간 처리’ 요청이 쇄도하면서 기존 업무에 쓰레기 배출ㆍ수거 업무를 병행하는 경우가 반복되기 때문이다.
특히 의정부시의 경우 최근 격리자들의 수거요청 세례에 자원순환과 내 전담반을 꾸려 직원들이 직접 2인1조로 4개 팀을 구성, 쓰레기 수거에서 운반, 소각까지 도맡고 있는 실정이다. 의정부시 관계자는 “격리자ㆍ격리해제자가 전용 종량제 봉투를 일반쓰레기통에 배출하는 경우도 있어 쓰레기 통을 뒤지는 일이 비일비재 하다. 아파트 외 단독주택 등은 찾아다니기도 쉽지 않은 실정”이라면서 “2월24일 처음 수거 이후 최근까지 누적된 쓰레기 양이 1만3천여톤을 육박하는 등 고된 업무가 이어지는데 하루빨리 코로나19가 종식돼야 이 업무도 끝날 것 같다”고 말했다.
타 지자체도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용인시 관계자는 “요즘 쓰레기를 수거해달라는 요청이 늘고 있다. 가뜩이나 코로나로 비상근무 인데 업무적 부담이 심하다”고 했고, 성남시 관계자 역시 “더운날씨에 방호복을 입고 수거해야 하고, 방역, 동선 파악 등 바쁜 와중에 의료폐기물까지 처리해 너무 힘들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현재 취해지는 자가격리자들의 폐기물 처리 방식은 자가격리자의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라며 “일반 업체를 쓰면 개인정보 노출 위험이 커진다. 일선 공무원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김동일ㆍ하지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