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2030 극저신용자 심각’…50만~300만원 받으러 1만여명 줄섰다

경기도 극저신용자 대출 사업의 신청자 신용등급 분포 현황

경기도 청년들이 불법사금융ㆍ학자금대출 등으로 극저신용자로 전락, 생활비조차 없어 도움의 손길을 청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50만~300만원을 받기 위해 경기도 지원 사업에 신청한 20ㆍ30대가 1만명 이상으로 확인, 전체 27% 이상을 기록했다.

경기복지재단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경기도 극저신용대출사업 신청자 특성 분석 및 개선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경기도가 지난 4월 진행한 ‘제1차 극저신용대출사업’ 신청자의 연령ㆍ직업ㆍ동기 등을 분류한 것이다. 이와 관련, 경기도는 일반 금융기관에서 대출이 어려운 신용등급 7등급 이하 도민에게 연 1% 이자 5년 만기로 50만원을 무심사 대출해줬다. 별도 심사를 통과하면 300만원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도는 하반기께 사업을 재추진할 계획을 갖고 있다.

1차 사업에는 총 3만7천200여명이 신청한 가운데 20대(2천900여명)와 30대(7천400여명)가 전체 27.8%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40대(29.1%), 50대(26.2%), 60대(13.7%), 70대 이상(3.3%) 등이었다. 이제 사회초년생인 20ㆍ30대가 50만원 남짓을 받기 위해 몰렸지만 이들이 전부 소득이 없는 것도 아니었다. 20ㆍ30대 신청자들의 직업을 보면 직장인, 자영업, 아르바이트, 프리랜서 등(무직자ㆍ주부가 아닌)의 비율이 20대 70.8%, 30대 73.7%로 70% 이상을 가리켰다.

이에 대해 경기도는 극저신용자 20ㆍ30대가 근로 소득을 기존 대출금 상환으로 사용, 경기도 지원 사업에 대한 수요가 높았을 것으로 추측했다. 이번 조사에서 20ㆍ30 신청자의 90% 이상이 경기도 지원금을 ‘생활비’로 쓰겠다고 답했다. 그다음은 기존 대출금 상환(3.3~3.8%)이었다.

경기복지재단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젊은 연령층에 대한 경제적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20ㆍ30대가 극저신용자로 빠지는 주요 원인이 불법사금융(불법대부업)에 있다고 판단해서다. 학자금 대출로 인해 어쩔 수 없는 청년도 있는 가운데 일부는 차량ㆍ사치품 등을 구매하기 위해 불법사금융에 빠져들고 있다. 이번 신청자 중에서도 비교적 작은 액수인 원금 30만원씩 2건을 대출했으나 이자만 100만원에 달하는 불법사금융으로 피해를 본 사례도 있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도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공감하며, 저신용ㆍ저소득자를 비롯한 경제적 약자의 회생 지원을 전담할 경기서민금융재단을 출범 준비 중”이라며 “이재명 지사도 금융취약 계층 보호를 위해 대부업 법정 최고금리를 연 10%로 인하하는 내용의 입법을 국회에 직접 요청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