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독자권익위원회, "‘소상공인 옥죄는 주류대출' 경기도와 정부 적극 나서야"

경기일보 독자권익위원회 8월 회의가 열린 27일 본보 중회의실에서 독자권익위 위원들이 지난달 본보 편집내용에 대해 평가하고 있다. 윤원규기자
경기일보 독자권익위원회 8월 회의가 열린 27일 본보 중회의실에서 독자권익위 위원들이 지난달 본보 편집내용에 대해 평가하고 있다. 윤원규기자

경기일보 독자권익위원회는 27일 개최된 제6회 회의에서 본보가 보도한 소상공인 주류대출 문제와 관련 경기도뿐만 아니라 정부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날 경기일보 사옥 1층 중회의실에서 열린 회의에는 이재복 독자권익위원장(수원대학교 교수), 우재도 ㈜둘로스관광여행사 대표, 이태운 DSD삼호㈜ 상무이사, 정정옥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장, 조양민 행동하는여성연대 대표가 참여했다. 회의는 발열 체크, 손 소독, 마스크 착용 등 코로나19 예방 수칙을 준수하고 진행됐다.

먼저 이재복 위원장은 본보가 보도한 ‘위약금에 우는 소상공인 “주류업체 사실상 대부업”’(4일자 1면), ‘경기도, 주류대출 피해자 외면…말뿐인 “불법 대부업과의 전쟁”’(5일자 1면) 등 소상공인들의 주류대출 문제와 관련 경기도뿐만 아니라 정부가 나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경기일보가 어려차례에 걸쳐 소상공인들의 주류대출 문제를 심도 있게 다뤘다. 사실상 대부업과 다르지 않은 주류대출로 인해 많은 소상공인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는 내용이었다”면서 “지난 18일 경기도가 이 문제에 대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는 속보를 봤다. 경기도는 물론 정부 차원에서 피해 조사 및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태운 위원도 “주류대출 문제는 요즘 같이 힘든 시기에 벼랑 끝으로 내몰린 소상공인들을 두번 죽이는 것”이라면서 “쉽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만큼 실질적인 대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경기일보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후속 보도로 이어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조양민ㆍ정정옥 위원은 재난과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을 주문했다.

조 위원은 “재난의 종류와 규모가 다양해짐에 따라 안전에 대한 국민의 요구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 주위에는 여전히 많은 문제들이 도사리고 있다”며 “재난과 관련된 정부의 정책을 진단하고 정책의 사각지대는 없는지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정 위원은 “전문가들은 이번에 발생한 태풍 바비가 지구 온난화에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면서 “환경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체감할 수 있는 재난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경기일보가 기획 보도로 환경에 대한 문제의식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해야한다”고 전했다.

우재도 위원은 SNS를 활용해 독자와의 소통 창구를 넓힐 것을 제안했다.

우 위원은 “경기일보가 최근 인스타그램을 시작했다. 인스타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며 “경기도에 많은 외국인들이 살고 있다. SNS에 한국어뿐만 아니라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도 함께 서비스한다면 보다 많은 독자층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했다.

이어 “만평이 가지는 파급력과 영향력이 상당하다. 만평을 PDF파일로 만들어 SNS에 게시하는 등 지면에 실린 콘텐츠들의 창구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송시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