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 유충 합동정밀조사단, 최종 조사결과 발표

▲ 한강청, 정수장 깔따구의 체내 및 표피에 붙은 활성탄 흔적들 (A) 앞쪽의 헛발, (B) 구강의 턱밑마디, (C) 두부의 큰턱, (D) 미부의 발톱

한강유역환경청과 인천광역시가 공촌ㆍ부평정수장의 수돗물 깔따구 유충 유출사고의 원인파악과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위해 지난달 16일 발족한 ‘수돗물 유충 관련 전문가 합동정밀조사단’은 29일 최종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위생관리 긴급조치사항 등을 제시했다.

이날 조사단은 환경부가 유충 유출사고의 재발을 방지하고 활성탄 공정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현재 ‘상수도 설계기준’, ‘상수도시설 유지관리 매뉴얼’과 각 지자체의 고도정수시설 유지관리 매뉴얼 등을 포함해 중ㆍ장기적으로 필요한 연구를 통해 ‘고도정수시설 운영ㆍ유지관리매뉴얼’을 작성, 배포하는 한편 정기적으로 개정할 것을 제안했다.

앞서 조사단은 중간결과 발표를 통해 인천시 수돗물 깔따구 유충 사고는 공촌ㆍ부평정수장의 입상활성탄 흡착지(이하 활성탄 지(池))에서 유출됐다고 밝힌 바 있다.

조사단은 창문 개방과 환기시설 중단 및 사람 출입 시 깔따구 성충의 유입이 가능하며, 활성탄 지는 유충이 생존할 수 있는 환경(온도ㆍ수중ㆍ먹이ㆍ역세척 주기 등)이었음을 기존에 확인했다.

추가 조사에서는 활성탄 지에 서식한 깔따구 유충은 배수지등의 공급계통으로 유출됐을 때에 체내와 표피(머리ㆍ꼬리 부분 등)에 활성탄의 미세입자가 부착돼 있어 활성탄 지에서 유출됐다는 흔적이 남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조사단은 이번 수돗물 유충 유출 사고는 인천시에서 발생했으나 미국ㆍ영국 등의 해외 수돗물 유충 발생사례 등을 종합해 검토했을 때 향후 시설과 운영이 비슷한 다른 곳에서도 유사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 단기ㆍ중장기 종합대책을 제안했다.

조사단이 제안한 수돗물 생산ㆍ공급과정 상에서 수 개월 내에 개선할 수 있는 단기대책은 우선 활성탄 지로의 깔따구 유입방지를 위한 구조물 개선이다.

건물의 이중 출입문과 방충시설 설치해 깔따구 성충 등의 야생생물 유입을 원천 차단하도록 했다.

현재 개방형 건물 및 개방형 활성탄 지로 운영 중인 정수장의 경우엔 활성탄 지 상부에 개폐식 덮개 시설을 설치하되 긴급 조치로 방충망을 틈새 없게 고정하는 것을 권고했다.

충 유출 방지를 위한 활성탄 지 운영개선 사항으로 깔따구(성충, 유충) 번식이 왕성한 기간(4~9월) 동안 활성탄 지의 역세척 주기를 잠정적으로 7일 이내 실시 및 역세척 속도를 최대한 증대해 운전하되 시설 특성 및 운영 상황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운영할 것을 제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활성탄 지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될 경우, 활성탄 지 이후 수돗물 공급계통 시설에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했다.

정수장내 유충의 조기 발견을 위한 긴급 모니터링 방법도 제안했다.

건물 내 성충 채집 및 활성탄 지의 유충 채집 등 대상생물 군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안했다.

일상적 수질검사 시에 할 수 있는 육안관찰 방법 및 소형생물이 관찰되면 즉각적으로 활성탄 지 지별조사를 실시할 것을 제안함과 더불어 금번 유충 유출사고에 대한 백서 발간을 인천시에 제안했다.

이 조사단은 이번 활성탄 지 깔따구 유충 유출 사고와 관련, 인천시를 포함한 특ㆍ광역시의 수도사업 현황을 살펴본 결과, 인천시가 2018년 이전에는 경제성을 우선한 비용절감 위주로 수도사업을 운영했다는 점과 급수인구 당 상수도사업 종사 인력이 타 특ㆍ광역시 대비 다소 적었다는 점을 확인했다.

조사단은 “이번 합동정밀조사단의 공식적인 활동은 이번 최종결과 발표로 종료되지만 향후 단기ㆍ중장기 과제의 대책 수립 및 정책제안 등 후속 조치에 있어서는 정부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추진할 것이다”고 말했다. 하남=강영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