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프리즘] 정보과잉의 스마트시대 생존법

인터넷과 스마트폰 보급 확대로 언제 어디서나 쉽게, 그리고 ‘무료’로 정보를 접할 수 있는 다매체·다채널 시대다. 이제 우리가 사는 세상은 인터넷과 디지털기술로 미디어 융합시대를 맞아 수많은 정보가 넘쳐나는 정보과잉시대다. 과거 ‘신문지’는 정보제공만이 아니라 교육자이자, 선전자로 이데올로기의 파종기였다.

그러나 세계 1위인 100% 휴대전화 보급률에 95%가 넘는 스마트폰 시대가 열리면서 전철역 좌판대의 프리페이퍼, 사장님 책상의 신문도 소리 없이 사라졌다. 아파트 우편함, 대문 앞에 꽂혀 있던 신문도, 전철 위 선반에 그득하던 신문도 없어졌다.

앨빈 토플러는 ‘제3의 물결’에서 제2물결을 상징하는 가장 오래된 대중매체인 신문 독자 감소를 미디어 소비자의 탈(脫)대중화 현상으로 진단했다. 인터넷혁명을 예견한 네그로폰테 MIT 미디어랩 교수도 ‘디지털이다’에서 종이신문 몰락을 예견했다.

탄생 300여년 역사로 정보제공자였던 신문뿐만 아니라 잡지, TV, 라디오 등 4대 매체는 미디어 파워 측면에서는 물론이고 정보제공의 양적 측면에서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모든 정보가 유통되는 미디어 창구가 된 스마트폰의 스마트 생태계는 이제 인류의 일상생활을 지배하고 있다. ‘모든 것이 모바일’로 라는 구호처럼 스마트폰 개막과 더불어 1인 영상 제작자 플랫폼인 유튜브는 ‘You(당신의)tube(텔레비전)’가 돼 막강한 미디어로 등장했다. 2005년 11월에 유튜브 서비스가 시작됐고, 2006년에 구글이 인수해 플랫폼 품질을 높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공식적으로 2008년 서비스가 시작, 2017년 11월 기준 국내 유튜브 이용자 수는 2천300만 명에 달했다.

기존의 TV, 라디오, 신문 등의 메이저 미디어 매체들 역시 1인 영상 제작자를 자처하며 유튜브를 활용, 미디어 무게 중심이 방송국과 TV채널에서 온라인 콘텐츠 플랫폼으로 옮겨진 셈이다. 2020년 현재 단순한 사실과 정보를 전달하는 영상부터 음악, 뉴스, 뷰티, 일상 공유, 공부비법, how to 영상, 검색 등 다양한 기능과 콘텐츠를 제공하는 다면(多面) 플랫폼(Multi Platform)으로 진화했다. ‘디지털뉴스 리포트 2019(Digital News Report 2019)’에 따르면 유튜브로 뉴스를 시청하는 한국인은 38개 조사대상국 중 4위로 전체 평균 26%보다 14% 높고 55세 이상 10명 중 4명이 유튜브로 뉴스를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유튜브로 변화하는 소비자 행동 특히 미래 경제 주체가 될 유튜브 핵심 이용자층인 Z세대(13~24세)를 고려한 마케팅전략을 치열하게 고민해야 할 때다.

박종렬 가천대 명예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